'대한민국 삼킨 물폭탄' 시작일 뿐?..지구의 '기후위기' 경고

김인한 기자 2022. 8. 9. 18: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인천·경기 등 중부지역에 하루 400㎜의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윤진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는 9일 머니투데이와 통화에서 "서울시 연평균 강수량 1500㎜ 중 20~30%에 해당하는 강수량이 하룻밤 사이에 쏟아진 것"이라면서 "국지성 폭우의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울과 경기북부 등 수도권에 폭우가 내린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일대 도로가 침수돼 차량이 잠겨 있다. 2022.08.08.


서울·인천·경기 등 중부지역에 하루 400㎜의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기후 과학자들은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기후변화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하고 나섰다. 획기적인 온실가스 절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국지성 폭우는 물론 가뭄과 폭염이 반복되는 '극한 기후'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윤진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는 9일 머니투데이와 통화에서 "서울시 연평균 강수량 1500㎜ 중 20~30%에 해당하는 강수량이 하룻밤 사이에 쏟아진 것"이라면서 "국지성 폭우의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온실가스로 지구 온도가 상승해 대기로 유입되는 수증기가 늘어났고, 습한 상태에서 강수 조건이 만들어지면서 이번처럼 국지성 폭우가 쏟아진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특히 "이번 비는 2018년 6월말 일본 서남부에서 폭염과 홍수가 복합적으로 닥친 경우와 유사하다"면서 "연평균 강수량은 늘지 않지만 이번처럼 비가 안 오다가 여름철 집중호우가 많아지는 극한 기후 현상은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당시 일본 서남부 지역에선 사흘간 최대 1000㎜의 기록적 물폭탄이 쏟아졌다. 이에 서일본 전역이 마비됐고 22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앞서 온실가스 증가로 극한 강수현상이 빈번해질 것이라는 연구도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이 지난해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와 공동 연구한 결과, 온실가스 배출이 현재 추세로 이어지면 70여년 뒤인 21세기 말 일부 지역에선 일 강수량 800㎜ 이상의 물폭탄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광주(경기)=뉴시스] 김종택기자 = 수도권 등 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9일 오후 경기도 광주시 굴당리 야산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토사가 흘러 내려 있다. 2022.08.09.

"온실가스 증가로 향후 동아시아 홍수 급증 예상"

현재 지구 평균온도는 산업화(19세기 후반) 이전보다 이미 1.1℃ 상승한 상황이다. 이에 주요국들은 파리협정 등 기후변화 협약을 통해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0(제로)으로 만들어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낮출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전력질주해도 가파른 온도 상승으로 극한 기후 현상을 피하기 어렵다고 전망한다. 기후모델링 전문가인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기후변화를 시뮬레이션 해보면 앞으로 동아시아 지역은 홍수로 인한 다수의 피해가 예상되며 특히 지구 평균온도가 1.5℃ 상승하기 전부터 늘어난다는 예측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기존 100년에 한 번 쏟아질 폭우나 폭염이 점점 빈도가 잦아지고 있는 만큼 관련 환경, 재난 정책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윤진호 교수도 "지구가 뜨거워지는 현상을 거스를 수 없다면 극한 기후 현상으로 재난이 발생할 취약 장소를 선보강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과정에서도 수십 년간 폭우, 폭염, 이로 인한 산불 등 극한 기후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9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제1공학관에서 학생 및 관계자들이 침수피해 복구작업을 하고 있다. 2022.08.09.

[관련기사]☞ 김동현 체육관 '2층' 침수, 지하는 멀쩡…"고생했다"양치승 '강남 체육관' 흙탕물로 난리…"잠은 다 잤다"'귀여운 여인' 줄리아 로버츠의 두 얼굴…유부남 '약탈왕'임창정, 스키니 입은 서하얀에 또 반했네송중기 6년만에 100억원 '대박'…'송혜교와 신혼집' 가격 2배
김인한 기자 science.inh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