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100' 수험생 증상별 컨디션 관리법

이승구 2022. 8. 9. 17: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윤나 교수는 9일 "수험생이 겪을 수 있는 증상은 크게 불안형과 체력 부족형, 집중력 부족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며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빠르게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러한 유형의 학생들을 위해 경희대한방병원 수험생 케어클리닉은 '수능 100일 케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고3, 코로나로 이전 수험생보다 몸·마음 빨리 지쳐"
"불안·긴장·체력·집중력 저하로 컨디션 관리에 어려움 겪어"
"전문가 진단 통해 정확한 원인 파악 후 증상별 관리해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100일 앞둔 9일 오전 울산 남구 무거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수험생들이 수업에 집중하고 있다. 울산=뉴시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재학시절 내내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오가는 혼란스러운 학교생활을 보냈다. 이 때문에 이전의 수험생들보다 몸과 마음이 더 빠르게 지쳐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는 불안감이나 긴장감, 체력, 집중력 저하 등으로 컨디션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남은 기간 개인별 증상에 따라 컨디션을 최상으로 관리하는 것이 수능 당일 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윤나 교수는 9일 “수험생이 겪을 수 있는 증상은 크게 불안형과 체력 부족형, 집중력 부족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며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빠르게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불안형’은 시험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로 걱정만하며 시간을 보내는 유형이다. 필요 이상의 스트레스는 ‘코티솔’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이어져 뇌의 활성도를 감소시킨다. 또 스트레스로 인해 두통, 소화불량, 기력저하와 같은 신체증상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좋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100일 앞둔 9일 오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합포고등학교 학습실에서 고교 3학년 수험생이 자율 학습하고 있다. 올해 수능 시험일은 오는 11월 17일이다. 창원=연합뉴스
 
‘체력 부족형’은 조금만 공부해도 피곤함을 느껴 공부를 지속할 수 있는 시간이 남들에 비해 짧은 경우를 말한다. 1년의 절반동안 수능을 준비하느라 정신적인 피로감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신체 기능의 회복력도 저하될 수밖에 없기에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집중력 부족형’은 다른 학생들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공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 유형이다. 흔히 공부 효율이 떨어진다고 평가받는 유형으로, 암기력이 떨어지고 시험을 보는 동안 실수가 많은 경우 등도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유형의 학생들을 위해 경희대한방병원 수험생 케어클리닉은 ‘수능 100일 케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김 교수는 “경희대한방병원 수험생 케어클리닉은 수험생 유형별로 맞춤화된 한약인 경희총뇌탕, 청뇌공진단 등을 처방하고 있다”며 “많은 학부모님들이 급한 마음에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요한 시기인 만큼 전문 의료진의 진단과 상담을 통해 조심스럽게 접근하기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