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에 가구도 안 팔리네

민경진 2022. 8. 9. 16: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증했던 가구 소매판매액이 최근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소매판매액은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0.3% 줄어든 2조7564억원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 감소폭을 크게 키웠다.

전방산업인 부동산 경기가 급랭하면서 가구 소비가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부동산 규제 및 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 거래가 끊기면서 집들이하는 가구가 줄고, 가구 매장을 찾는 소비자 역시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분기 판매액 2.4조..8.4%↓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 반토막
한샘·지누스 등 영업이익 급감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증했던 가구 소매판매액이 최근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엔데믹(독감 같은 계절성 풍토병화) 전환으로 가정에서 머무는 시간이 줄어든 데다가 금리 인상 여파로 부동산 경기마저 침체한 영향이다. LX하우시스, 한샘 등 주요 관련 기업의 실적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 소매판매액은 2조4864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했다. 가구 소매판매액은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0.3% 줄어든 2조7564억원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 감소폭을 크게 키웠다.

분기별 가구 판매액은 2018년 1분기(1조833억원)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이후 매 분기 꾸준히 증가해왔다. 2020년엔 코로나19 사태로 재택근무, 홈스쿨링이 늘면서 1분기를 제외한 나머지 분기별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30%에 육박하는 등 성장 속도가 가팔랐다. 지난해까지 이어지던 이런 분위기는 올 들어선 한풀 꺾였다.

전방산업인 부동산 경기가 급랭하면서 가구 소비가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부동산 규제 및 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 거래가 끊기면서 집들이하는 가구가 줄고, 가구 매장을 찾는 소비자 역시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8만413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7만3014건)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2020년(45만2123건)과 비교하면 훨씬 적다.

LX하우시스, 한샘 등 주요 기업의 실적도 악화하고 있다. LX하우시스는 올해 2분기 매출(9485억원)이 5.7% 늘었지만 영업이익(56억원)은 81.6% 급감했다. 한샘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5002억원, 영업이익은 92.2%나 줄어든 22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최근 현대백화점그룹이 인수한 침대 전문기업 지누스도 2분기에 매출(2642억원)은 5% 늘었지만 영업이익(92억원)은 30.8% 뒷걸음질쳤다.

증권가에선 하반기 가구업계의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핵심 소재인 석유화학 제품, 목재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최근 안정화되는 추세여서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원자재 가격이 다소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하반기 실적은 상반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