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주요기업 4500곳..올 2분기 순익 7% 감소 전망

방성훈 2022. 8. 9. 10: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상장기업 4500곳의 올해 2분기(4~6월) 순이익이 7분기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9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이 금융정보 서비스업체 퀵·팩트 세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 세계 상장사 4500곳의 2분기 실적(8일 기준)을 취합한 결과, 순이익 총액은 약 8493억달러(약 1107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닛케이, 전세계 시가총액 80% 상장사 4500곳 실적 분석
2분기 순익 1107조원, 전년比 7%↓..7분기만에 뒷걸음질
"원자재값 상승·중국 봉쇄조치·공급망 혼란 지속 등 영향"
3분기엔 12% 증가 예상..美 금리인상·우크라戰 등 변수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전 세계 상장기업 4500곳의 올해 2분기(4~6월) 순이익이 7분기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AFP)

9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이 금융정보 서비스업체 퀵·팩트 세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 세계 상장사 4500곳의 2분기 실적(8일 기준)을 취합한 결과, 순이익 총액은 약 8493억달러(약 1107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감소했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기업의 경우 시장 전망치를 토대로 추산했다. 4500개사의 시가총액은 전 세계 시총의 80%를 차지한다.

닛케이가 분기별로 집계하는 전 세계 상장사들의 순이익이 뒷걸음질친 것은 2020년 3분기(7~9월) 이후 처음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등,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중국의 봉쇄조치, 반도체 등 공급망 혼란 지속 등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 2019년 2분기와 비교하면 40% 증가한 규모라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부문별로는 전체 17개 업종 중 11개 업종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감소했다. 자동차 부문이 8분기 만에 29% 순이익 감소를 기록했다. 대표 기업으로는 독일 폭스바겐은 강판 등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순이익이 23% 줄었고,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반도체 부족 등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으면서 40% 급감했다.

기계(-18%)와 전기(-4%)는 중국의 봉쇄조치로 공급이 정체된 것이 영향을 끼쳤다.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제조사인 스위스 ABB는 중국 상하이 공장 가동이 멈춰 생산이 반토막났고, 미국 애플은 부품 공급 지연 및 달러화 강세 등으로 7분기 만에 순이익이 11% 가까이 줄었다.

팬데믹 기간 호조세를 보였던 정보통신(-55%)과 금융(-58%)도 큰 타격을 입었다. 미국 메타(페이스북)는 인터넷 광고가 감소해 순이익이 36% 줄었으며,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보유 주식 평가 손실로 437억 5500만달러(약 57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소재에너지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순이익이 2.2배 늘었다. 특히 영국 쉘 등 글로벌 석유 메이저 5개사의 순이익 총액은 전년 동기대비 3.8배 급증한 624억달러(약 81조 4000억원)를 기록했다. 수송 역시 경제·사회 활동 재개, 억눌렸던 수요 폭발 등에 힘입어 90% 급증했다.

한편 올 3분기(7~9월)엔 전 세계 상장사들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12% 증가할 것으로 시장에선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불확실성을 키우는 리스크 요인이 여전히 많다.

기업들의 경영환경 역시 악화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최근 발표한 7월 미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2.8을 기록했다. 경기확장 국면을 의미하는 50을 웃돌긴 했지만 2020년 6월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이에 따라 적지 않은 기업들이 3분기 또는 연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2분기 실적발표 당시 “지정학적 긴장과 인플레이션 등이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내다봤다.

방성훈 (b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