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난 달 기준으로 최고위원 분산 투표", 친명계 싹쓸이 전략 나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내 이재명 대세론이 당대표 선거는 물론 최고위원 선거에도 불어닥치고 있다.
유력 당권주자인 이재명 의원 지지층에서 선출직 최고위원(5명)도 최대한 친이재명(친명)계 주자로 채워야 한다며 분산 투표에 나서면서다.
8명의 후보가 경쟁하고 있는 최고위원선거에서는 8일 현재 누적 득표율을 보면 친명계 후보인 정청래(1위), 박찬대(3위), 장경태(4위), 서영교(5위) 의원 모두 당선권(5위)에 포함됐다.
친명계 후보들의 약진은 이 의원 지지층의 전략적 투표가 한몫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명계 최고위원 당선 막기 위한 전략 투표
박용진, 이재명 겨냥 '사당화 방지 방안' 발표
더불어민주당 내 이재명 대세론이 당대표 선거는 물론 최고위원 선거에도 불어닥치고 있다. 유력 당권주자인 이재명 의원 지지층에서 선출직 최고위원(5명)도 최대한 친이재명(친명)계 주자로 채워야 한다며 분산 투표에 나서면서다. 전국 순회경선 첫 주부터 나타난 '이재명 친위체제' 구축을 위한 친명계 후보들의 약진에 비이재명(비명)계는 견제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선거 초반 두드러진 친명계 약진
8명의 후보가 경쟁하고 있는 최고위원선거에서는 8일 현재 누적 득표율을 보면 친명계 후보인 정청래(1위), 박찬대(3위), 장경태(4위), 서영교(5위) 의원 모두 당선권(5위)에 포함됐다. 이들은 이 의원의 지방 유세 일정에 동행하면서 친명계 후보임을 적극 부각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비명계 후보에서는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친문재인계 고민정 의원이 2위로 유일하게 당선권에 진입했다. 고 의원의 선전에는 높은 인지도뿐 아니라 전당대회 중 이재명 의원과 선명한 각을 세우지 않고 '중립'을 표방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많다. 반면 최고위원 선거에서 이 의원과 각을 세운 후보들은 고전하고 있다. 윤영찬, 고영인, 송갑석 의원은 각각 6~8위에 머물고 있다.
친명계 후보들의 약진은 이 의원 지지층의 전략적 투표가 한몫하고 있다. 이 의원 지지층에선 연일 "수박은 한 명도 지도부에 남기지 말아야 한다"며 전략적 투표를 독려하고 있다. 겉은 진보지만 속은 보수라는 뜻을 가진 '수박'은 비명계 후보들을 지칭한다.
비명계 견제 위해 '친명계 후보' 전략적 분산 투표
이들은 현재 6위인 친문계이자 친이낙연계인 윤영찬 의원을 견제하면서 "특정 친명계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면 안 된다"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특정 친명계 후보에게 표가 몰릴 경우, 비명계 후보들이 어부지리로 5위 안에 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지층의 생일별로 △1~4월생은 정청래, 장경태 의원 △5~8월생은 정청래, 서영교 의원 △9~12월생은 정청래, 박찬대 의원을 각각 뽑자는 식이다. 이마저도 현재 1위인 정 의원에게 표가 몰려 비명계 후보가 최고위원에 당선될 수 있다며 △출생 연도가 홀수인 경우는 정청래, 서영교 의원 △짝수인 경우는 박찬대, 장경태 의원을 찍자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순위는 순회지역 권리당원(40%) 투표 결과로, 대의원(30%)과 일반당원 여론조사(25%) 결과는 전국순회 후인 28일 발표된다. 국민 여론조사(25%)는 14일, 28일 두 차례로 나눠서 발표된다. 이에 따라 현재 당선권에 든 5인 중 일부는 비명계 후보로 충분히 바뀔 수 있는 만큼 분산 투표로 최대한 단속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5위 서 의원(8.97%)과 6위 윤 의원(7.71%) 간 격차는 크지 않다.
이 의원 지지자들이 비명계 후보들에 대한 견제에 나선 배경에는 그간 비주류였던 이 의원의 약한 원내 지지세가 꼽힌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당원 사이에선 이 의원의 지지세가 압도적이지만, 의원 사이에선 그렇게 세지 않다"며 "비명계 의원들이 지도부에 진출할 경우 '이재명 대표 체제'를 흔들 수 있다고 보고, 원 보이스 지도부를 꾸리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다양성 실종 우려... 박용진 '사당화 방지' 발표
특정 계파 일색의 지도부 구성으로 당내 다양성 실종에 대한 우려도 크다. 당권주자인 박용진 의원이 이날 '사당화 방지 방안'을 발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그는 △최고위원회 권한 강화 △독립적 인사위원회를 통한 당직 인선 △공천관리위원회 조기 구성 등을 주장하면서 권한 분산을 통한 지도부의 일방적 당 운영을 견제했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김가윤 인턴기자 gayoon28@gmail.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박순애 사퇴...돌아온 尹 인적쇄신 나서나
- 차만 대놓고 주문 안 하자… 포천 백운계곡 식당주인들 주차장 막았다
- "아이유처럼 '초록병 술' 마실래"... 한국소주 일본 판매 20배 껑충
- 폭우에 주택·차량 침수… 인천이 잠겼다
- '파친코' 작가 차기작은 '아메리칸 학원'...영어 제목에 한국어 들어간 까닭은
- 케냐 대선·총선·지선 D-1… 성폭력과 싸우는 여성 후보들/ 제목다시
- 곧 닥쳐올 병특 가뭄... 산업현장은 한 명이라도 더 받으려 '아우성'
- '계곡살인' 이은해, 도피기간 부산 여행에 호텔·펜션 숙박도
- '외계+인' 흥행 참패에 '비상선언'도 주춤...'대목 실종' 여름 극장가
- '스타 장관' 욕심 났나...교육 비전문가의 예고된 추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