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대통령 "초심 지키고 국민 뜻 받들겠다"..더 이상 시행착오 안돼

2022. 8. 9. 00: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휴가를 마치고 업무에 복귀한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출근 일성으로 '초심' '국민'을 강조하며 자세를 낮췄다.

윤 대통령은 '도어스테핑'에서 "늘 초심을 지키며 국민 뜻을 세심하게 살피고 잘 받들겠다"고 했다.

국민과 언론도 윤 대통령이 '국민의 뜻 존중'을 밝힌 만큼 수습 과정을 차분히 지켜보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사 쇄신 필요, 권성동 일선서 후퇴를
국민·야당도 국정 수습 차분히 지켜봐야

휴가를 마치고 업무에 복귀한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출근 일성으로 ‘초심’ ‘국민’을 강조하며 자세를 낮췄다. 윤 대통령은 ‘도어스테핑’에서 “늘 초심을 지키며 국민 뜻을 세심하게 살피고 잘 받들겠다”고 했다. 한덕수 총리와의 주례회동 등에선 “국민 거스르는 정책은 없다. 개혁은 국민 마음을 살피는 과정에서 출발한다”고 했고, 소통 강화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의 이런 반응은 지지율 하락에 대해 “별 의미가 없다”고 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다. 지지율 추락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때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그런 성찰에 기초해 국정을 운영해 나가겠다는 것은 바람직하다. 첫 단추를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퇴로 가닥을 잡은 것은 불가피한 조치다. 윤 대통령이 “모든 국정 동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고 한 것은 박 부총리 경질과 함께 정부와 대통령실 인적 쇄신을 고민하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박 부총리는 ‘초등학교 만 5세 취학 학제 개편’과 오락가락 외고 폐지로 교육 정책 신뢰도를 추락시킨 데 대해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이제 더 이상 시행착오는 안 된다. 윤 대통령의 출근길 일성을 국정 운영에 오롯이 녹여내지 못하고 말로만 그친다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빠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윤 대통령은 물론 대통령실 참모부터 각성과 쇄신이 필요하다. 지난 3개월간 정책과 정무, 메시지 등에서 보인 혼란은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인사 문제만 해도 청문 보고서 채택 없이 임명된 공직자와 낙마자가 각각 4명과 5명에 이르고, 정부 고위직 곳곳이 비어 있다. 주무장관 공석으로 연금·교육개혁도 차질이 우려된다. 그렇다면 인재풀 다각화와 검증 시스템 개선을 포함해 인사 전반에 걸쳐 개선안을 마련해야 한다.

허술한 대통령 메시지 관리와 대(對)야당 전략 등 가다듬어야 할 게 한둘이 아니다. ‘사적 인사’ 논란 재발 방지책도 필요하다.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뒷말이 나오게 해선 안 된다. 그런 점에서 대통령 배우자와 4촌 이내 친·인척, 대통령실 수석비서관급 이상 비위를 감찰할 특별감찰관 임명이 시급하다. 국민의힘도 공동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 비상대책위 전환 등을 놓고 끝없이 벌이는 갈등에 국민은 지쳤다. 무엇보다 잇단 헛발질로 신뢰를 잃은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롯한 ‘윤핵관’은 일선에서 후퇴하고, 이준석 대표도 온갖 조롱 섞인 말투로 자당을 공격하는 행태를 멈추고 스스로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국민과 언론도 윤 대통령이 ‘국민의 뜻 존중’을 밝힌 만큼 수습 과정을 차분히 지켜보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물론 국정 난맥에 대한 책임은 윤 대통령이 져야 하고, 휴가 복귀 메시지가 성에 차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허니문 기간 없이 뭇매를 맞았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 야당도 마찬가지다. 대통령 지지율이 조금만 떨어지면 기회다 싶어 야당 본연의 견제 기능을 넘어 ‘촛불’ ‘탄핵’ 운운하며 거대 야당 힘자랑하듯 하는 것은 졸렬하고 과도하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