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의 31%·수출의 43%..중국에 노출된 韓 반도체 리스크

세종=김훈남 기자 2022. 8. 8. 17: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정부가 미국 주도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 구성을 위한 예비회의 참석 의사를 공식화한 가운데 2020년 기준 우리 반도체 수입액의 31%, 수출액의 43%를 중국에 의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8일 발간한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0년 반도체 수입액은 570억3000만달러(약 74조5000억원)로 이 가운데 중국에서의 수입이 178억달러(약 23조2500억원), 전체의 31.2%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리어트, 코닝 등 주요 기업 CEO들과 화상회의 중 '반도체 지원법'의 하원 통과 메모를 들고 활짝 웃고 있다.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정부가 미국 주도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 구성을 위한 예비회의 참석 의사를 공식화한 가운데 2020년 기준 우리 반도체 수입액의 31%, 수출액의 43%를 중국에 의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시에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공급망 자립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조언이 나온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8일 발간한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0년 반도체 수입액은 570억3000만달러(약 74조5000억원)로 이 가운데 중국에서의 수입이 178억달러(약 23조2500억원), 전체의 31.2%로 집계됐다. 중국의 뒤를 이어 △대만 116억달러(20.4%) △일본 77억7000만달러(13.6%) 순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는 시스템 반도체 수입이 223억달러로 전체의 39.1%를 차지했고 △메모리반도체 181억달러(31.7%) △반도체 장비 77억달러(13.5%) 순이었다. 시스템반도체 수입을 국가별로 나눠보면 대만이 99억달러, 44.6%로 가장 많았고 미국과 중국기 각각 13.6%, 10.6%로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의 주력분야인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중국이 전체 수입액 180억8000만달러 가운데 76.7%인 139억달러를 차지했다. 시스템 반도체와 메모리 반도체의 대중 수입을 합치면 전체의 70.8%였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계가 국내에서 생산한 반도체 제품을 중국으로 보내 후공정을 거친 뒤 재수입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수출을 살펴보면 2020년 반도체 수출액 954억6000만달러(124조5800억원) 가운데 중국으로 수출한 금액은 412억달러(53조7700억원)로 전체의 43.2%를 차지했다. 홍콩에 대한 수출도 174억달러로, 18.3%였다. 중국과 홍콩을 합치면 전체 반도체 수출의 61.5%가 중국·홍콩으로 향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는 592억달러였고, 중국과 홍콩으로 각각 50.3%, 21%를 수출했다. 보고서는 "수입과 마찬가지로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 공급망에 있어 상호 연계성과 의존성이 매우 높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한국과 일본, 대만에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동맹) '칩4' 참여를 요구하면서 한국의 반도체 공급망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고서는 "미국의 반도체 주도권 강화와 미중 디커플링(탈동조화) 정책은 반도체 산업 글로벌 공급망 구조에 가장 큰 변수"라며 "미국이 반도체 핵심기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디지털 만리장성'을 쌓아 중국 기술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반도체 기술패권으로 중국을 통제하면서 중국에 투자한 반도체 기업의 탈중국화를 유도할 것"이라며 "반도체 핵심기술 선진국과 독점기술 기업의 시장 지배력 및 동맹국간 공급망 구조 강화도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미중 반도체 기술 패권경쟁에 대한 대응책에 대해 "단기적으로 미국 주도 공급망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우리 자체 공급망 안정화에도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특정국가에 편중돼 있는 공급망을 분산하기 위해 현재의 공급망 재편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암 4기 진단 커플 "재발 위험에 2세 계획 미루는 중"성유리 "결혼후 남사친과 여행 괜찮았는데 남편이 그러면…"장동민도 놀란 '1억' 에르메스백 "뭘 넣고 다녀요?""술 마시다 울었다"…이수근, '투석치료' 아내와 첫만남 회상설현, '은퇴 번복' 지민과 끈끈한 AOA 우정 "알찬 하루"
세종=김훈남 기자 hoo1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