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차량 침수 속출..중부 폭우 피해 잇따라

이유경 2022. 8. 8. 17: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시뉴스] ◀ 앵커 ▶

오늘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폭우가 쏟아지면서 시청자 분들이 저희 MBC에 많은 제보 영상 보내주셨습니다.

사회팀 이유경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이유경 기자, 짧은 시간에 정말 많은 비가 내렸군요.

◀ 기자 ▶

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간당 최고 100 밀리미터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침수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관련 영상들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오늘 하루 최대 17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진 경기 연천군의 마을 모습입니다.

산 비탈을 따라 흙탕물이 쉴새없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지금 영상에 나오는 곳이 주택가로 보이는데요.

비탈면의 지반이 약해지면서 쓸려내려온 토사가 빗물과 뒤섞이면서 주변 도로가 모두 흙탕물로 뒤덮인 모습입니다.

좀더 가까이서 찍은 영상입니다.

산 비탈을 따라 흙탕물이 폭포처럼 쏟아지고 있습니다.

======

다음 영상은 경기 의정부시 중랑천의 능골교 인근 주차장입니다.

강물이 범람하면서 차량의 바퀴 높이까지 차오른 모습입니다.

차량을 급히 대피시키는 시민들도 보이고요.

하천과 도로의 경계가 구분이 가지 않을 정도로 강물이 많이 불어난 모습입니다.

======

다음은 인천시 남구 주안동의 골목길에서 촬영한 영상입니다.

오늘 인천에서 많은 비 비해 제보를 전해주셨는데요.

빗물이 허벅지 높이까지 차오른 상태인데, 사람들이 모여 검은색 승용차를 밀고 있습니다.

빗물은 바퀴까지 올라찼고, 골목에 주차된 다른 차량들은 옴짝달싹 못하는 모습입니다.

======

이번 제보 역시 마찬가지로 인천 주안동입니다.

도로가 아예 물바다가 됐습니다.

거리를 오가는 차량들은 물살을 가르며 위험하게 주행을 하고 있는데요.

차도를 넘어선 빗물이 인도 위로 세게 밀려오는 모습도 보입니다.

회색 승용차가 운전석 문을 열어둔 채 도로 위를 천천히 지나고 있네요.

======

이번 영상 역시 인천 주안동에서 촬영된 영상입니다.

차량들이 많이 오가는 사거리인데요.

빗물이 차올라 주변이 물바다가 됐습니다.

======

이번 영상은 주안동의 한 공사장 입구에서 촬영됐습니다.

공사장에서 흘러나온 토사가 거센 빗물과 만나 도로 위로 흘러나왔습니다.

주변 도로가 모두 흙탕물로 뒤덮인 모습입니다.

======

이곳은 인천 미추홀구의 한 아파트 상가입니다.

배수구가 역류하면서 상가 1층이 빗물로 침수된 모습입니다.

건물 안까지 빗물이 들어선 모습 보실 수 있습니다.

======

다음은 인천 미추홀구 용현동입니다.

소방차량이 빗물이 차오른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데요.

오른편에서 빗물에 갇힌 승용차를 밀고 있는 소방대원의 모습이 보입니다.

오늘 오후 2시 반까지 인천에는 85건의 비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고 합니다.

======

다음은 서울 강남구 신사동의 한 음식점입니다.

식당 내부 불이 모두 꺼졌고, 천장에서 물이 폭포수처럼 쏟아집니다.

쏟아지는 물을 감당하지 못한 직원들은 아예 식당 안에서 우산을 쓰고 있는데요.

빗물이 주방 안에까지 떨어지면서 식당에서 보관하고 있던 식재료까지 물이 들어가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

다음은 인천 부평구의 한 골목에서 촬영한 영상입니다.

도로 주변에 흙탕물이 보이는데, 무릎 높이까지 물이 차오른 모습입니다.

주변에 오토바이도 물길을 가로지르며 조심스럽게 지나가고, 우산을 쓴 주민들도 힘겹게 도로 위를 지나가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제보 영상을 통해 비 피해 상황 전해드렸습니다.

◀ 앵커 ▶

빗물이 곳곳에 높이 찬 모습을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이유경 기자와 함께 제보 영상 살펴봤습니다.

고맙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유경 기자 (260@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1700/article/6396187_35729.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