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게임 성능, PC 지연 시간 따져야"

권봉석 기자 2022. 8. 8. 16: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엔비디아가 그래픽카드나 게임 성능 평가에 쓰이는 프레임뷰·ICAT 등 소프트웨어에 최신 기능을 추가해 곧 공개할 예정이다.

그래픽카드 성능을 측정할 때 흔히 쓰이는 프레임뷰(FRAMEView) 1.3 버전에는 PC 성능으로 인한 지연 시간을 표시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앞으로 공개될 프레임뷰 1.3 버전은 평균 fps, 최저 fps 이외에 PC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도 추가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PC 처리 지연 속도 측정 기능, 곧 공개될 '프레임뷰'에 추가

(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엔비디아가 그래픽카드나 게임 성능 평가에 쓰이는 프레임뷰·ICAT 등 소프트웨어에 최신 기능을 추가해 곧 공개할 예정이다.

그래픽카드 성능을 측정할 때 흔히 쓰이는 프레임뷰(FRAMEView) 1.3 버전에는 PC 성능으로 인한 지연 시간을 표시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함께 공개될 이미지·동영상 비교용 소프트웨어인 ICAT은 결과물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HTML 코드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 생긴다.

엔비디아가 각종 성능 측정 프로그램 최신 버전을 업데이트해 공개할 예정이다. (사진=엔비디아)

8일 오전 서울 삼성동 본사에서 열린 엔비디아 사전 브리핑 행사에서 김선욱 엔비디아코리아 마케팅 이사는 "게임 성능 측정에는 fps(초당 프레임 수) 뿐만 아니라 PC측 지연시간, 게임 이미지 품질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이번 업데이트는 이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프레임뷰 1.3 버전에 PC 지연시간 측정 기능도 추가

프레임뷰는 PC 게임 성능을 측정할 때 가장 흔히 쓰이는 fps(초당 프레임 수)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다. 윈도 다이렉트X 11·12 기반 게임에서 모두 작동하며 엔비디아 그래픽카드가 아니어도 작동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쓰인다.

곧 공개될 프레임뷰 1.3 버전에는 PC 지연시간(PCL, 단위 ms) 측정 기능이 추가된다(사진=지디넷코리아)

앞으로 공개될 프레임뷰 1.3 버전은 평균 fps, 최저 fps 이외에 PC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도 추가된다. 이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한 뒤 모니터로 내보내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김선욱 이사는 "PC 지연 시간은 fps 못지 않게 실제 게임 환경에 큰 영향을 주며 e스포츠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지연 시간이 줄어들면 게임 성적이 2배에서 2.5배까지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PC 지연시간에 따른 게임 성적 비교 결과. (자료=엔비디아)

이어 "오버워치, 포트나이트 등 e스포츠 관련 게임들은 이를 위한 엔비디아 리플렉스 1.6 SDK를 적용하고 있고 AMD 라데온, 인텔 아크 등 다른 회사 그래픽카드라 해도 PC 처리 지연 시간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화질·효과 비교용 프로그램도 업데이트

엔비디아는 같은 그래픽카드에서 특정 기능을 끄고 켰을때, 혹은 다른 그래픽카드에서 화질이나 효과 차이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ICAT'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ICAT은 '이미지 비교·분석 도구'(Image Comparison & Analysis Tool)의 약자다. 그래픽 효과를 강화하는 옵션을 끄고 켰을 때, 혹은 제조사가 다른 그래픽카드에서 그래픽 효과가 어떻게 표시되는지 화면을 분할해 사진과 동영상으로 쉽게 비교할 수 있다.

화질·그래픽 옵션 적용에 따른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ICAT. (사진=지디넷코리아)

김선욱 이사는 "ICAT 새 버전인 0.3.14는 분석 결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웹페이지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추가했다"며 "생성된 파일을 서버에 올리고 이를 웹페이지에 추가하면 그림 파일로는 알아보기 힘든 미세한 효과도 동영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