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눈치보는 애플.."대만 납품업체에 '중국산' 적어라"

장가희 기자 2022. 8. 8. 11:4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베이징 쇼핑센터에서 물건을 옮기는 직원과 애플 로고(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아이폰을 만드는 애플이 대만 협력업체들에 '대만산' 대신 '중국산'을 공급물품에 표기할 것을 요청했다고 일본 니케이아시아가 8일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중국으로 가는 이들 업체의 제품이나 부품의 원산지를 '대만, 중국'(Taiwan, China) 또는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로 표시했는지 신속히 검토하고 그렇지 않으면 수정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애플의 이 같은 단속은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지난 2일 대만을 방문한 뒤 중국과 대만,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나왔습니다.

중국은 대만을 독립국이 아닌 자국 일부로 간주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미국 의전서열 3위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에 크게 항의했습니다. 

과거에도 중국은 대만을 중국의 일부로 보지 않는 각국 정부나 기업의 태도에 반발하고 보복을 가하기도 했습니다.

대만은 대만에서 중국으로 보내는 수출품의 원산지를 대만 또는 중화민국으로 표기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품 상자나 수입신고서에 '대만산'(Made in Taiwan) 또는 대만의 공식 명칭인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이 들어가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니케이아시아는 그런 표기가 붙을 경우 중국이 최고 4천 위안(약 77만 원)의 벌금이 부과되거나 최악의 경우 운송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애플의 이번 요청은 아이폰 조립업체인 대만 페가트론의 한 고위 임원이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주최한 오찬에서 펠로시 하원의장을 만난 다음 날 중국이 페가트론의 중국 쑤저우 공장을 점검한 뒤 나왔습니다.

중국을 주요 시장으로 삼는 중국은 예전부터 중국 당국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저자세를 취해왔습니다. 

애플은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지난해 10월 '쿠란 마지드'앱 등 무슬림과 관련한 앱을 애플 앱스토어에서 삭제했습니다.

이는 신장 지역의 무슬림 소수민족 위구르를 겨냥한 중국의 탄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돼 논란이 뒤따랐습니다.

애플은 2017년에도 중국 19차 당 대회를 앞두고 해외 인터넷 우회접속 프로그램인 가상사설망(VPN) 앱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했습니다.

이는 중국의 정보통제와 검열에 힘을 보탠 것으로 해석돼 서방 언론과 시민단체들의 비판을 받았습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