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급수 사는 깔따구가 상주보에.."물길 닫힌 10년을 말해줘"

김현수 기자 2022. 8. 7. 21: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낙동강 녹조' 현장 르포
진녹색 물빛 띤 영주호 경북 영주시 평은면 영주호 일대에 지난 6일 녹조가 발생해 짙은 녹색 빛을 띠고 있다.
상류 경북 상주 상주보에선
모래층 썩어 시커먼 진흙으로
하류 김해 대동선착장 ‘녹조’
부산 식수원 취수장 마찬가지
“대구 정수장서 독성물질 검출”
대구시 수질연구소 “안 나와”
환경단체, 낙동강 전체 조사
수질 안전 두고 의견 대립

지난 6일 오후 1시쯤 낙동강 상류인 경북 상주시 도남동 상주보 선착장 입구. 환경운동연합 활동가가 진흙을 뒤적거리자 역한 시궁창 냄새가 코끝을 찔렀다. 진흙의 정체는 강바닥에 쌓인 퇴적토. 강물이 흐르지 않으면서 시커멓게 썩어버린 것이다. 한 삽 분량의 퇴적토에서는 구더기 모양의 깔따구 애벌레 5마리가 발견됐다. 깔따구 애벌레는 4급수 지표종이다. 4급수는 식수로 사용할 수 없고, 오래 접촉하면 피부병을 일으킬 수 있는 수질이다.

시커멓게 변해버린 퇴적토에서 새빨간 깔따구 애벌레가 연이어 발견되자 “1급수였던 상주보가 어떻게 이렇게 됐느냐”며 탄식이 나왔다. 이날 상주보 선착장에서 퍼낸 흙 네 삽에서 깔따구 애벌레 21마리와 실지렁이로 추정되는 2마리가 나왔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1급수였던 상주보에서 4급수 지표종인 실지렁이와 깔따구 유충이 나오고 있다”며 “상주보가 완공되고 물길이 닫힌 지 10년 만에 벌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경북 상주시 도남동 상주보 선착장 인근 강바닥 퇴적토에서 나온 깔따구 애벌레.

같은 날 오후 3시쯤 경북 영주시 평은면 영주다목적댐 물문화관에서 바라본 내성천은 댐에 가로막힌 물줄기에 녹조가 발생해 짙은 녹색을 띠고 있었다. 영주댐은 이명박 정부가 1조1030억원을 들여 2016년 10월 준공했다. 준공 이후 가뭄 등의 상황을 제외하곤 수문 개방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거대한 ‘녹조라떼 배양장’으로 전락했다는 게 환경단체의 주장이다.

낙동강 하류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지난 4일 환경단체가 찾은 경남 김해시 대동면 대동선착장 일대는 거대한 녹조 띠가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부산의 식수원인 물금·매리 취수장도 마찬가지였다. 물금·매리 지점은 지난 7월 4차례 연속 유해 남조류 개체수(개/㎖)가 10만을 넘겼다. 조류경보는 ‘관심’(1000 이상), ‘경계’(1만 이상), ‘대발생’(100만 이상)으로 나뉘어 발령된다.

환경단체는 “지난해 낙동강의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는 미국 연방환경보호청(EPA) 물놀이 금지 기준의 최대 740배가 나왔고, 6월에 채수한 물에서 최대 1075배라는 믿을 수 없는 결과가 나왔다”며 “녹조 가득한 물이 논·밭으로 공급되고 있고 이 물이 취수장을 거쳐 수돗물 정수장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했다.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 4~6일 낙동강 녹조 현황 조사를 진행했다. 대구지역 수돗물에서 남조류가 뿜어내는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오자 낙동강 전 구간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지난달 28일 대구시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매곡·문산 정수장에서 각각 0.281㎍/ℓ, 0.268㎍/ℓ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부경대학교 연구진이 고산정수장을 거친 수돗물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같은 물질이 0.226㎍/ℓ 검출됐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녹조에 포함된 남조류에서 나오는 독성물질이다. 마시거나 피부에 닿는 등 몸으로 흡수되면 간과 폐, 생식기 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마이크로시스틴 약 200종 가운데 현재까지 독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확인된 물질(LR)의 먹는물 권고 기준을 1㎍/ℓ 이하로 정하고 있다. 한국도 이 기준을 따르고 있다.

환경단체의 발표에 대해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는 지난 1일 수돗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부와 대구시는 부경대 검사 방식(진단키트)의 신뢰도가 낮다고 주장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상수원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더라도 정수처리를 통해 정화하기 때문에 시민들 식수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글·사진 김현수 기자 kh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