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7년만에 수유리 광복군 묘소 국립묘지 이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국 독립을 위해 일제와 싸우다 순국해 서울 강북구 수유리 합동묘소에 안장됐던 광복군 17명의 유해가 광복 77년 만에 국립묘지로 이장된다.
국가보훈처는 "제77주년 광복절을 맞아 오는 11∼14일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소에 있는 광복군 선열 17위를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한다"고 7일 밝혔다.
합동묘소는 1957년 작고한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장군의 옛 수유리 묘소(1994년 서울현충원 이장) 아래에 1961년 조성된 뒤 1981년까지 안장이 이뤄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국 독립을 위해 일제와 싸우다 순국해 서울 강북구 수유리 합동묘소에 안장됐던 광복군 17명의 유해가 광복 77년 만에 국립묘지로 이장된다. 국가보훈처는 “제77주년 광복절을 맞아 오는 11∼14일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소에 있는 광복군 선열 17위를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한다”고 7일 밝혔다.
수유리 합동묘소 이장은 오는 11일 오전 묘소 개장과 12∼13일 서울현충원으로 운구 임시 안치, 온·오프 국민 추모·참배 기간 운영에 이어 14일 오전 서울현충원에서 합동봉송식을 하고 이날 오후 국립대전충원에서 안장식을 한다.
수유리 합동묘소는 광복 후 조계사 등에 임시 안치된 독립운동가들을 수유리에 모시면서 만들어졌다. 이 묘소에는 봉분 1기에 17위의 선열들이 함께 안장됐다. 보훈처 관계자는 “광복 직후에는 선열들을 모실 국립묘지가 없었고, 당시는 광복군 선열들이 독립유공자가 아니었다. 1990년 이후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았지만, 대부분의 선열들이 20·30대에 순국해 후손이 없어 지난 77년간 국립묘지로 이장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광복군 선열 합동 이장은 조국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후손 없는 광복군 선열들의 숭고함을 국민과 함께 기리고,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기 위해 직접 추진한 최초의 사례라고 보훈처는 설명했다.
합동묘소는 1957년 작고한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장군의 옛 수유리 묘소(1994년 서울현충원 이장) 아래에 1961년 조성된 뒤 1981년까지 안장이 이뤄졌다. 이 묘소에는 김유신(1991년 애국장), 김찬원(1991년 애국장), 백정현(1991년 애국장), 이해순(1991년 애국장), 현이평(1995년 애국장), 김순근(1990년 애족장), 김성률(1991년 애족장), 김운백(1991년 애족장), 문학준(1991년 애족장), 안일용(1991년 애족장), 전일묵(1991년 애족장), 정상섭(1991년 애족장), 한휘(2022년 애족장 예정), 이한기(1990년 애족장), 이도순(1990년 애족장), 이한기(1990년 애족장), 이도순(1990년 애족장), 동방석(1990년 애족장), 조대균(1990년 애족장) 선열이 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피할 수 없다면…‘이재명 리스크’ 돌파구 찾는 민주당
- 코로나19 감염병 시대…희생양 만들기 악순환 반복하나
- 중부 지방은 폭우, 남부는 폭염 이어질 듯…“열대야 기승”
- ‘우영우’ 속 정명석 변호사 인기있던 이유…‘좋은 상사’ 유형 1위는?
- 서울 남산 뒤덮었다는 솔개, 어디서 번식하나 했더니?
- ‘아직 4년9개월’ 윤 대통령이 살아남는 법…임기단축 개헌
- 손흥민의 날카로운 크로스, 토트넘 개막전 승리로 이끌었다
- 직원 가족 등 우선·특별 채용…노동부, 63개 기업 단체협약 적발
- [논썰] ‘김건희의 나라’인가…‘국정 사유화’ 의혹 5가지
- 20대에 발견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동료 덕분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