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물가 비상에 추석 성수품 가격도 들썩..식용유 56%↑·밀가루 36%↑

강석봉 기자 2022. 8. 7. 11: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공품·채소류 급등세..이번 주 민생대책 발표



밥상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내달 추석을 앞두고 서민경제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7월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113.12(2020년=100)로 1년 전보다 8.0% 올랐다.

최근 식품 물가는 그간의 안정세를 뒤로하고 지난해 2월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채소류는 물론 식용유, 밀가루 등 가공식품 가격도 상승 폭을 넓히고 있다. 식용 유지(34.7%) 등 가공식품과 채소·해조류(24.4%) 등 신선식품 물가가 크게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품목별로 보면 식용유 가격이 1년 새 55.6%로 크게 뛰었다. 밀가루 가격은 36.4%, 부침가루 가격은 31.6%로 동반 상승했다. 국수(32.9%), 라면(9.4%), 빵(12.6%)과 햄·베이컨(8.0%), 기타 육류 가공품(20.3%) 등 가정에서 즐겨 먹는 가공식품류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추석 성수품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배추 가격은 72.7%, 무 가격은 53.0% 상승하며 입이 떡 벌어지게 했으며, 수입 쇠고기(24.7%), 돼지고기(9.9%), 닭고기(19.0%) 등 축산물도 상승세에 날개를 달았다.

다행히 사과(-13.0%), 배(-14.0%), 밤(-14.3%) 등 과실류와 계란(-10.8%) 가격은 내림세였지만, 양파(18.8%), 마늘(11.7%), 감자(41.1%) 등은 생산량이 감소한 탓에 오름세를 나타냈다.

추석 성수품은 아니지만 밥상 물가와 직결되는 오이(73.0%), 시금치(70.6%), 상추(63.1%), 부추(56.2%), 미나리(52.0%), 파(48.5%), 양배추(25.7%) 등 채소류도 최근 폭염으로 급등세를 멈추지 않았다.

가공품이나 과자류 역시 물가 상승세에서 벗어나지 못한 형국이다. 롯데제과는 이달부터 햄 등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9.0% 인상하기로 했으며 빙그레, CJ제일제당, 동원F&B 등도 제품 최근 가격을 올렸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다. 올해 3분기에는 국제 곡물 가격이 높았던 2분기 계약 물량이 도입되면서 식용 곡물 수입단가가 전 분기보다 15.9%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정부는 이에 대응해 밥상 물가 안정을 위한 민생 대책을 이번 주 발표할 예정이다.

강석봉 기자 ksb@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