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10만5507명, 엿새째 10만명대..일요일 17주만에 최다

변해정 2022. 8. 7. 09: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엿새 연속 10만명대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10만5507명 늘어 누적 2048만9128명이 됐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일(11만1758명)부터 엿새 연속 10만명을 넘겼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 확진자는 10만5023명, 해외유입 확진자는 484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국내 발생 10만5023명, 해외 유입 484명
위중증 297명…중환자 병상 가동률 37%
어제 27명 사망…재택치료자 60만9357명

[서울=뉴시스] 5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2.08.05. bluesoda@newsis.com

[세종=뉴시스] 변해정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엿새 연속 10만명대를 기록했다. 일요일(발표일) 기준으로는 17주 만에 최다치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10만5507명 늘어 누적 2048만9128명이 됐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일(11만1758명)부터 엿새 연속 10만명을 넘겼다.

일요일 기준으로는 지난 4월10일(16만4453명) 이후 17주 만에 최다 기록이다.

1주 전인 지난달 31일의 7만3559명보다 1.4배, 2주 전인 지난달 24일의 6만5372명의 1.6배다. 1주 단위로 확진자 수가 2배로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은 다소 완화됐지만 1주 전 대비 배율은 이번 주 들어 조금 높아졌다.

지역별 신규 확진자 수는 서울 1만8366명, 경기 2만6291명, 인천 5625명 등 수도권이 5만282명으로 47.7%를 차지한다.

비수도권에서는 5만5225명(52.3%)이 나왔다. 경남 6736명, 경북 5893명, 부산 5828명, 전북 4481명, 대구 4721명, 충남 4470명, 충북 3656명, 대전 3452명, 강원 3431명, 광주 3415명, 전남 3288명, 울산 3135명, 제주 1828명, 세종 863명, 검역 28명이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 확진자는 10만5023명, 해외유입 확진자는 484명이다.

국내발생 확진자 중 수도권에서 5만129명(47.7%), 비수도권에서 5만4894명(52.3%)이 각각 발생했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이 2만3253명(22.1%),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은 1만8077명(17.2%)이다.

해외유입 확진자 중 검역 단계에서 28명, 지역사회에서 456명이 각각 확진됐다. 내국인은 383명, 외국인은 101명이다. 유입 추정 국가는 중국 외 아시아 338명, 유럽 77명, 아메리카 42명, 오세아니아 22명, 아프리카 3명, 중국 2명이다.

입원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297명이다. 전날(313명)보다 16명 줄었다.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255명(85.9%)이다.

지난 6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37.0%로 직전일(35.3%)보다 1.7%포인트 높아졌다. 병상 1686개 가운데 1062개가 비어 있다. 수도권 가동률은 37.5%, 비수도권은 35.8% 수준이다.

준중증 병상과 중등증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각각 58.7%, 43.6%다. 재택치료가 어려운 무증상·경증 환자가 주로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의 가동률은 12.9%다.

신규 입원 환자 수는 403명이다. 전날(487명)보다 84명 줄었다.

전날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27명으로 직전일(45명)보다 18명 줄었다. 사망자 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25명(92.6%)이다.

누적 사망자는 2만5263명,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을 의미하는 치명률은 0.12%이다. 7월 4주(7월 24~30일)차에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에 달했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는 60만9357명이다. 전날 10만3635명(수도권 5만514명, 비수도권 5만3121명)이 신규로 재택치료에 들어갔다. 이 중 집중관리군은 1403명(0.23%)이다.

재택치료 집중관리군 관리의료기관은 전국에 830곳이 운영 중이다. 24시간 운영되는 의료상담센터는 179곳이 있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만3636곳,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검사·처방·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9594곳(비대면 진료 가능기관 7409곳)이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pyu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