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복수위 높이고 美 비판강도 높여..美中, '대만갈등' 격화

이상헌 2022. 8. 6. 03: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군사채널 차단·협력 중단 선언..이틀째 무력시위 이어가
美 "과잉대응·무책임" 비판..항모 감시 지속·中대사 초치 항의
주일본미국대사관서 기자회견 하는 펠로시 미 하원의장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촉발된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중국은 무력 시위를 이어가면서 대미(對美) 군사 대화 채널과 기후변화 등의 협력 중단을 선언하고, 펠로시 의장에 대한 제재에 착수하면서 보복 조치 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미국은 중국이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핑계 삼아 과잉 대응을 하고 있다면서 무책임하다고 비판하고 즉각적인 군사 행동 중단을 거듭 촉구했다.

펠로시 의장이 대만을 떠난 지 이틀이 지났지만, 미중 갈등의 파고는 오히려 더 높아지면서 대만해협을 둘러싼 양국 갈등의 해법찾기는 안갯속에 휩싸인 국면이다.

대만 인근 비행하는 미사일 탑재 중국군 항공기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 외교부는 5일(현지시간) "강렬한 반대와 엄정한 항의를 무시한 채 대만 방문을 강행한 데 대해 제재조치를 선포한다"며 8개항 조치를 전격 발표했다.

여기엔 전구(戰區) 사령관 전화 통화 중단, 국방부 실무회담과 해상 군사안보 협의체 회의 취소 등 미중 양국 군사당국 간 대화 단절이 포함됐다.

미중간 불법 이민자 송환 협력, 형사사법 협력, 다국적 범죄 퇴치 협력, 마약 퇴치 협력, 기후변화 협상 중단 조치도 선언됐다.

전날 대대적인 미사일·포사격 무력 시위를 벌였던 중국은 이날도 대만해협 중간선 너머로 군용기와 함정 수십 대를 보내 군사적 위기를 고조시켰다.

대만 국방부는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중국 전투기 68대와 군함 13척이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었다고 밝혔다. 이날 중간선을 넘은 군용기의 경우 지난 3∼4일 이틀간의 44대보다 숫자가 늘어나 무력 시위 수위도 올라간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중국은 내정 간섭과 주권 침해를 주장하면서 논란을 촉발한 펠로시 의장 개인과 직계 친족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친강 주미 중국대사는 미 유력지 워싱턴포스트(WP) 기고에서 "대만은 1천800년 간 중국 영토의 불가분한 일부였다. 미국의 한 주가 독립선언을 하고 다른 나라로부터 무기와 정치적 지지를 받으면 미 정부가 용납하겠느냐"며 여론전을 펼쳤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미국은 중국의 무력 보복 조치가 무책임하고 지나치다고 비판하며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 등을 위해 캄보디아를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그들은 위험한 행동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다"고 지적하면서 과잉대응을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이러한 극단적이고 불균형적이며 긴장을 고조시키는 군사 대응은 정당화될 수 없다"며 미 국방부가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에 이런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지역에 주둔하도록 명령했다는 사실을 재차 상기했다.

아울러 미 백악관은 친강 대사를 백악관으로 불러들여 엄중히 항의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무책임하고 대만해협에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려는 오랜 목표와도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중국의 군사행동을 비난했다"고 말했다.

일본을 방문 중인 펠로시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방문은 대만의 현상 변경을 위한 것이 아니라 대만 해협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며 "중국은 우리의 대만 방문을 막아 대만을 고립시키지는 못할 것"이라고 중국을 비난했다.

중국이 군사행동 수위를 올리면서 미국과의 대화·협력 채널을 일부 끊고, 이에 맞서 미국은 경고음을 재차 발신하면서 미중 간 갈등이 치솟고 있다.

다만, 양국은 이번 일이 불미스러운 사태로 번지지 않게 하려는 움직임도 보였다.

중국은 대만해협에 대한 군사행동을 하면서도 전날 시행했던 '실사격'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아 무력 시위 수위를 조절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미국 역시 블링컨 장관이 '하나의 중국' 정책 불변 사실을 거듭 강조하면서 "우린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 양안 갈등이 강압이나 무력이 아닌 평화적으로 해결되길 바란다"는 유화적인 발언을 내놨다.

honeyb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