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배터리 소재 계열사 '케이잼'에 7300억여원 투자

박순엽 2022. 8. 5. 17: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려아연이 동박 제조 계열사 케이잼(KZAM)에 공장 증설을 위해 7300여억원을 투자한다.

최윤범 고려아연 부회장은 "이번 대규모 투자 결정으로 케이잼을 통해 전기자동차 시장을 향한 세계적인 변화에 선제로 대응할 것"이라며 "그간 쌓아온 전기 분해 기술력을 바탕으로 양질의 동박 생산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높이고, 배터리 산업 성장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7356억원 투자계획 승인..공장 증설 목적
연간 생산량 1만3000t서 6만t까지 점차 늘릴 계획
"양질의 동박 생산해 배터리 산업 발전 기여할 것"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고려아연이 동박 제조 계열사 케이잼(KZAM)에 공장 증설을 위해 7300여억원을 투자한다.

고려아연(010130)은 5일 이사회를 통해 케이잼에 약 7356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케이잼의 공장 증설을 위한 시설자금으로 쓰인다.

이는 고려아연의 신성장동력인 ‘트로이카 드라이브’(Troika Drive)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배터리(이차전지) 소재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케이잼은 지난 2020년 3월 고려아연이 100% 출자해 설립한 자회사로, 배터리 소재인 전해동박의 생산과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현재 고려아연 울산 온산제련소 부근 6700평 부지에 있으며, 연간 1만3000톤(t) 규모의 전해동박 공장을 올해 말 완공해 내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케이잼은 이번 투자 결정과 증설 결정으로 연간 1만3000t의 생산량을 6만t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공장 부지 외에 고려아연이 소유한 2만2300평 부지를 추가로 확보, 2025년까지 1차 증설(3만t)을 완료하고, 2027년까지 2차 증설(6만t)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으로, 이미 단계별 생산에 필요한 동박 제조용 티타늄 드럼도 확보한 상태이다.

고려아연의 전해동박 공장 증설 계획 (표=고려아연)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핵심 재료인 전해동박은 연속도금 방식으로 제조한 얇은 구리 막이다. 글로벌 탈 탄소화 흐름이 빨라지는 상황 속 전기차 생산량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면서 고려아연은 동박 수요가 나날이 늘고 있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전기차 보급 대수가 연간 30% 증가해 2030년 누적 1억45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와 핵심소재인 동박 수요 역시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 SNE리서치는 2027년 전 세계 동박 수요가 1164천t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최윤범 고려아연 부회장은 “이번 대규모 투자 결정으로 케이잼을 통해 전기자동차 시장을 향한 세계적인 변화에 선제로 대응할 것”이라며 “그간 쌓아온 전기 분해 기술력을 바탕으로 양질의 동박 생산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높이고, 배터리 산업 성장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순엽 (so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