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상임전국위 무난히 마무리됐지만..당 안팎서 '시끌'(종합)

이균진 기자,노선웅 기자,손승환 기자 2022. 8. 5. 16: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의동 "정당 민주주의 심대한 오류"..하태경 "당 운명이 법원으로 간다"
홍준표 "朴 탄핵 연상, 그만하라"..이준석 "어쨌든 비상이라는 코미디"
서병수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 상임전국위원회를 마친 후 결과 발표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8.5/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서울=뉴스1) 이균진 노선웅 손승환 기자 = 국민의힘 상임전국위원회가 현재 상황을 '비상상황'이라고 결론냈다. 하지만 당헌개정안을 두고 당 안팎에서 이견이 분출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상임전국위를 열고, 비상상황에 대한 유권해석과 당헌개정안을 의결했다. 이날 상임전국위는 비상상황에 대한 유권해석과 당헌 개정안에 대해 논의했다. 유권해석은 상임전국위원 40명 중 29명이 '비상상황'에 찬성했다.

또 당헌 개정안은 조해진·하태경 의원이 제안한 개정안과 대표 직무대행이 비상대책위원장 임명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최고위 개정안 등 2건이 안건으로 올라왔다. 상임전국위원 40명 중 26명이 최고위 개정안에 찬성했다. 조해진·하태경 의원의 개정안은 10명이 찬성했다. 당헌 개정은 오는 9일 열리는 전국위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하지만 비상상황에 대한 유권해석과 당헌 개정안에 대한 반발이 여전한 모습이다. 몇몇 상임전국위원들은 의결 과정에서 회의장을 퇴장하기도 했다. 특히 조해진·하태경 의원의 당헌개정안 제안 설명 과정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면서 논쟁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유의동 의원은 상임전국위 이후 기자들과 만나 "원내대표는 대여 협상이나 원내대표로서의 정상적인 기능 등을 행사하고 있다. 이 상황을 당 대표를 직에서 물러나게 할 만큼 심대한 상황이냐. 그건 그렇지 않다"며 "지지율이 낮아지는 상황을 이런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느냐. 그 해법에 대해 동의하기 어렵다. 또 간접적인 방식으로 당 대표를 해임하는 선례를 남기면 정당민주주의에 있어서 절차적으로 심대한 오류가 생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태경 의원은 "국민은 우리 당을 어떻게 보나. 대선에서 이기자마자 그 다음날부터 권력싸움으로 날뛰는 당, 한심한 당으로 보고 있다"며 "이 대표를 쫓아내는 편법으로 비대위를 하게 되면 우리 당의 운명이 법원으로 간다"고 비판했다.

또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상임전국위가 상생의 길을 저버리고 파국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 매우 유감"이라며 "우리 당의 비상식적인 결정을 국민 대다수는 납득하지 못할 것이다. 앞으로 국민의 매서운 질타가 쏟아질 것이다. 당 구성원 모두가 무겁게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진 의원은 "불필요한 논란과 당내 갈등을 당헌 개정을 통해 해소하려고 제시했는데 채택이 안됐다"라며 "혼란이 이어지고 더 큰 위기에 빠질 것 같아 굉장히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반면 이채익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유권해석 결과 당은 현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인식하고 비대위로 전환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있을 전국위 등을 통해 당의 상황이 잘 정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깊어지는 당 내홍을 하루빨리 종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천신만고 끝에 정권교체를 이뤘으나 새 정부의 미숙함과 또다시 내부 분열 세력들의 준동으로 윤석열 정권은 초기부터 극심하게 몸살을 앓고 있다"며 "당 대표가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징계를 당하고 밖에서 당과 대통령에 대해 공격하는 양상은 사상 초유의 사태로 꼭 지난 박근혜 탄핵 때를 연상시킨다. 이제 그만들 하시라"라고 지적했다.

홍 시장은 이 대표에 대해 "사사건건 극언으로 대응한 것은 크나큰 잘못"이라며 "지금 하는 모습은 막장정치로 가자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이 대표 입장에서 중재를 해보려고 노력했으나 이제 그만두기로 했다. 조금더 성숙해서 돌아오라. 그때까지 기다리겠다"라고 했다.

한편 이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 당이 비상상황인지 표결한다는데, 결국 현재 당의 최고위 구성원은 누군지요"라며 "비상이라고 하면 직무대행인 원내대표는 사퇴했나요. 최고위원은 몇 명이 사퇴한 상태인가요. 정작 (원내대표는) 사퇴하지 않았는데 '어쨌든' 비상이라는 코미디를 오늘 목격하게 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상임전국위 개최 이후에는 "이제 ARS 전국위로 비대위를 출범시키려고 한다"며 "코로나19로 집합금지가 있는 상황도 아닌데 ARS 전국위까지 하느냐. 공부모임한다고 국회에 수십, 수백명씩 모이다가 전국위는 ARS로 하는 이유가 뭐냐"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준석계가 만든 국민의힘 바로 세우기(국바세)는 주말동안 당내 민주적 정당성 훼손 비판 등을 위한 정치적 의견 개진 캠페인을 진행하기로 했다. 법적 대응에 대해서는 논의 이후 실제 착수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오픈채팅방인 국바세는 당원이나 지지자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설 이틀 만에 신청자가 2500명을 돌파했다.

asd12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