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더P] '어대명' 깬다더니..점점 멀어지는 97그룹 후보 단일화

이상훈 2022. 8. 5. 15: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랭킹쇼] 박용진·강훈식 후보

이재명·박용진·강훈식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최종 후보가 돼 경쟁하고 있다. 이 후보에 맞서 '97그룹' 박용진·강훈식 후보의 단일화 논의가 나왔지만, 1차 순회경선이 시작되는 3일 이전 단일화는 무산됐다.


1. 박용진 "최대한 빨리"


'97그룹'의 단일화를 주장해왔던 박용진 후보는 예비경선 이후 강훈식 후보와의 단일화 주장에 목소리를 높였다. 박 후보는 권역별 순회경선이 시작되는 3일 전에 단일화 절차를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첫 경선지인 강원·대구·경북도 본선 투표 이전에 단일화를 이뤄 사표 발생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다.

사실상 3일 이전에 단일화가 불발되자 박 후보는 12일을 새로운 마지노선으로 제시했다. 지난 2일 TBS 라디오 '신장식의 신장개업'에 출연해 "사실상 박용진과 이재명 후보의 1대1 구도를 만드는 데 열흘을 걸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강 후보의 (민주당 개혁에 대한) 의지를 확인했으면 그걸로 일단 충분하다"면서도 "다만 당원들에 대한 예의, 그리고 당원들의 선택 권한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설명했다.

박 후보는 예비경선을 통과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빨리 강 후보와 함께 단일화 논의를 진행하겠다"고 했다. 단일화 목적에는 단순히 '반(反)명'(반 이재명)의 목적을 넘어 '비전을 공유한 연대'라는 게 박 후보 설명이다. 박 후보는 지난달 29일 CBS 라디오에서 "저하고 같은 또래인 강훈식 후보가 올라온 게 단순히 반명 연대가 아니라 미래 연대의 가능성을 열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2. 강훈식 "공통 비전 안 보인다"


반면 강훈식 후보는 단일화보다는 "강훈식을 제대로 알리겠다"는 각오가 앞섰다. 강 후보는 지난달 31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초반 97그룹이 단일화 이슈에 몰입한 채로 예비경선이 끝났기 때문에 본선에서는 일반 당원과 국민께 강훈식을 제대로 알리겠다는 마음으로 임하겠다"고 설명했다.

강 후보는 단일화를 결심할 공통된 비전이 보이지 않다는 주장이다. 강 후보는 박 후보와의 단일화 논의에 대해 "비전과 비전이 만나야 폭발력과 잠재력이 터지지 않겠냐"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일 MBC 라디오에서 출연해 강 후보는 "(박 후보는) 여론조사에서 2등이 나오니까 한 달간 캠페인 자체를 단일화로 해오셨다"며 "비전은 반명, 캠페인은 단일화로 하는 것은 후보의 선택인데 지지자들이나 유권자들이 왜 단일화해야 하는지, 무엇을 위한 단일화인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면 단일화의 문은 닫힐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예비경선에 앞서 강 후보는 97그룹 내 단일화 논의에 유보적 입장을 보여왔다. 지난달 21일 재선의원 모임이 주최한 '재선의원 당대표 후보 토론회'에 참여한 강 후보는 '단일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지금은 비전을 낼 시간"이라며 선을 그었다. 다만 "컷오프 이후에는 당연히 그걸(단일화) 열어놓고 논의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3. 현재로선 접점 안 보여


두 후보가 '97그룹'에 속하고 '반명'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 외엔 뚜렷한 접점이 없다는 것이 단일화 논의가 나아가지 못하는 이유로 꼽힌다. 특히 두 후보의 지지 기반이 달라 단일화 방식에 대한 논의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박용진 후보는 당내 지지 기반은 약하지만,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2018년 20대 국회 국정감사에서 사립유치원 이슈를 주도해 주목을 받았고,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대선후보 경선에 올라 이재명 후보와 대결을 펼쳤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공개된 당대표 적합도 여론조사에서도 이 후보에 이어 2위를 기록해왔다.

강훈식 후보는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당내 조직력에서 앞선다는 평가다. 당내에서 굵직한 인사들이 강 후보에게 지지 선언을 보냈다. 김영춘 전 해수부 장관이 강 후보의 후원회장을 맡았고,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응천 의원의 지지 선언을 받았다. 첫 지도부 도전에 나선 강 후보가 일단 단일화 시기를 늦춰 얼굴을 알릴 시간을 갖고 체급을 키울 기회로 삼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어윤지 인턴기자/이상훈 정치전문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