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팬데믹 물러나니 추락한 '줌', "이대로 끝 아냐"

이정훈 2022. 8. 5. 14: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과 함께 역사상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가 일상으로의 복귀 이후 빠르게 추락하고 있는 화상회의서비스업체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스(ZM)가 다시금 성장 궤도에 복귀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섞인 전망이 나왔다.

캐서린 트레브닉 MKM파트너스 애널리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줌이 아직까지는 줌 미팅을 통해 대부분 매출을 벌어들이고 있지만, 앞으로 몇 개 분기 동안 새로운 사업으로 성장세를 이끌 것"이라며 이 같은 잠재적인 촉매로 인해 주가가 수 개월 내에 지금보다 더 올라갈 여력이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스, 올 들어 주가 40% 추락 중
MKM, '매수' 의견에 목표가 135달러.."20% 상승여력"
클라우드 컨택트센터·줌폰·줌채트·줌룸스 신사업 주목
"새 시장 진입·성장 능력 탁월..주식 살 매력적 구간"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과 함께 역사상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가 일상으로의 복귀 이후 빠르게 추락하고 있는 화상회의서비스업체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스(ZM)가 다시금 성장 궤도에 복귀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섞인 전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월가 투자은행인 MKM파트너스는 이날 처음으로 줌에 대한 기업 분석을 시작하면서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제시했고, 목표주가도 135달러로 매겼다. 이는 현재 주가인 112.86달러 대비 20% 정도 상승여력이 있는 셈이다.

캐서린 트레브닉 MKM파트너스 애널리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줌이 아직까지는 줌 미팅을 통해 대부분 매출을 벌어들이고 있지만, 앞으로 몇 개 분기 동안 새로운 사업으로 성장세를 이끌 것”이라며 이 같은 잠재적인 촉매로 인해 주가가 수 개월 내에 지금보다 더 올라갈 여력이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줌이 새로운 4개의 사업을 통해 지금보다 매출을 더 늘리고 고객 기반 유지를 강화하고 최종적인 고객에 대한 전략적 활용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면서 회사의 재도약을 이끌 4개의 신규 사업으로 줌 클라우드 컨택트센터 솔루션과 줌 폰, 줌 채트, 줌 룸스를 꼽았다.

줌 클라우드 컨택트센터 솔루션은 기존 데이터센터 대신에 클라우드를 통해 기업들이 고객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업무용 소통수단인 줌 채트, 회의실용 화상회의솔루션인 줌 룸스, 글로벌 클라우드 전화솔루션인 줌 폰 등도 빠른 성장세를 타고 있다. 실제 줌 폰은 출시 1년 만에 가입자가 100만명에서 300만명까지 늘어났다.

이와 함께, 줌은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줌 IQ 포 세일즈’는 AI를 활용해 줌 미팅 내 고객 대화를 분석해 판매 성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준다. 회사 측은 2025년까지 이 사업의 시장 기회가 91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는 인접한 줌 컨택트센터나 줌 폰, 줌 미팅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올 들어 지금까지의 줌 주가 추이

사실 1분기까지 실적도 나쁘지 않았다. 1분기 매출은 11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2% 늘었고, 잉여현금흐름(FCF)도 10% 늘어난 4억9800만달러였다. 이에 FCF 마진은 46%에 이르렀다.

트레브닉 애널리스트는 “줌은 새로운 시장에 뛰어 들고서 그 시장에서 고객들과의 관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특출한 능력을 가진 기업”이라며 “이런 기업에게 새로운 사업과 제품이 생겨나면 그 만큼 성장할 기회가 늘어나는 셈”이라고 말했다.

특히 줌 주가는 올 들어서만 이미 40% 가까이 급락하고 있는 만큼 “지금이야 말로 투자자들이 새롭게 이 회사 주식에 진입할 수 있는 매력적인 구간”이라고 강조했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