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식사 후 졸음 쏟아지는 직장인들, 식곤증일까?

전아름 기자 2022. 8. 5. 12: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곤증은 음식을 먹은 뒤 전신에 힘이 빠지고 나른해지며 졸음이 강하게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식곤증은 의학적인 질병이 아니라 생리적 피로감을 유발하는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강정보] 밥만 먹으면 졸린 이유, 몇 가지 있습니다

【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식곤증은 음식을 먹은 뒤 전신에 힘이 빠지고 나른해지며 졸음이 강하게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식곤증은 의학적인 질병이 아니라 생리적 피로감을 유발하는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식사 후 음식이 위장으로 몰리면서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해 발생하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식곤증 유발 원인으로 음식 속에 들어 있는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을 꼽을 수 있다. 트립토판이 체내에 흡수되면 세로토닌으로 바뀌는데 이는 긴장 완화 및 졸음의 주 원인이다. 특히 세로토닌 일부는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으로 변환되기도 한다.

도움말=이종우 숨수면클리닉 원장. ⓒ숨수면클리닉

식곤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많이 먹는 식습관을 피하는 것이 좋다. 과식을 할 경우 위장으로 향하는 혈액이 더 많아져 뇌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식후 디저트로 신선한 채소·과일을 먹는 것이 효과적이다. 채소·과일은 비타민·무기질이 풍부해 피로 회복 및 졸음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바나나, 우유, 라떼 종류의 차는 트립토판이 들어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식사 후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산책을 하면 식곤증을 이겨내는데 도움을 준다. 그 중에서도 산책은 소화기관에 집중된 혈류를 뇌, 근육 등으로 재분배하여 식곤증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햇빛을 쬐면서 도파민을 자극, 신경을 각성시켜 졸음을 극복할 수 있다.

만약 식곤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또 다른 원인을 의심할 수 있다. 권장 수면 시간인 7시간 이상을 자고도 낮에 졸림이 계속된다면 과수면증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과수면증은 증상에 따라 특발성과 중추성으로 나뉜다. 특발성 과수면증은 지속적으로 졸림을 느끼고 수면시간이 8~10시간 정도 긴 편이다. 중추성 과수면증은 일상생활 중 순간적으로 잠에 빠져드는 증상이다. 이와 함께 기면증, 가위눌림, 탈력발작, 환각 등이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다.

특발성 과수면증은 원인이 불분명하다. 다만 스트레스, 과식, 우울증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반면 중추성 과수면증은 뇌척수액 내 각성 전달 물질의 감소가 원인이다. 신체를 잠에서 깨우는 역할을 하는 히포크레틴(Hypocretin)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졸림증을 느끼는 것이다.

이종우 숨수면클리닉 원장은 "평소 시간, 장소 관계 없이 졸음이 쏟아진다면 단순 식곤증이 아닌 과수면증일 수 있으므로 정확히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은데 과수면증 진단은 병력 청취와 더불어 수면다원검사, 다중수면잠복기검사로 감별한다"며 "약물 치료와 함께 행동요법을 병행하면 과수면증의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Copyright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