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셀리드 코로나19 오미크론 백신 1·2상 승인

조민규 기자 2022. 8. 5. 11: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셀리드가 개발중인 코로나19 오미크론 백신 'AdCLD-CoV19-1 OMI'의 1·2상 임상시험계획을 지난 4일 승인했다.

AdCLD-CoV19-1 OMI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아데노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제조한 '바이러스벡터 백신'이며, 1·2상 임상에서는 안전성과 면역원성(바이러스 감염성을 없애거나 낮추는 '중화항체' 증가 비율)을 평가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벡터백신 AdCLD-CoV19-1 OMI..백신접종 완료자 또는 코로나19 확진후 격리해제자에 1회 투여

(지디넷코리아=조민규 기자)식품의약품안전처는 셀리드가 개발중인 코로나19 오미크론 백신 ‘AdCLD-CoV19-1 OMI’의 1·2상 임상시험계획을 지난 4일 승인했다.

AdCLD-CoV19-1 OMI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아데노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제조한 ‘바이러스벡터 백신’이며, 1·2상 임상에서는 안전성과 면역원성(바이러스 감염성을 없애거나 낮추는 ‘중화항체’ 증가 비율)을 평가한다.

임상시험의 투여방법은 허가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 또는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 해제된 사람에게 추가접종 형태로 1회 투여이다.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페이스북 캡처)

식약처는 회사가 제출한 비임상시험 자료에서 마우스와 원숭이에게 백신을 접종한 후 오미크론 항원에 대한 중화항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는 등 임상시험 진입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은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재조합백신 ‘NBP2001’ 1상(임상 승인일 2020-11-23) ▲셀리드 바이러스벡터백신 ‘AdCLD-CoV19-1’ 1상(2021-07-23) 2b상(2022-01-27) ▲진원생명과학 DNA백신 ‘GLS-5310’ 1·2a상(2020-12-04)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재조합백신 ‘GBP510’(면역증강제: 알루미늄) 1·2상(2020-12-31) ▲유바이오로직스 재조합백신 ‘유코백-19’(EuCorVac-19) 1·2상(2021-01-20), 3상(2022-01-2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재조합백신 ‘GBP510’(면역증강제: AS03) 1·2상(2021-01-26), 3상(2021-08-10) ▲큐라티스 RNA백신 ‘QTP104’ 1상(2021-07-19) ▲아이진 RNA백신 ‘EG-COVID’ 1·2a상(2021-08-31) ▲에스티팜 RNA백신 ‘STP2104주’ 1상(2022-03-24) ▲셀리드 바이러스벡터백신 ‘AdCLD-CoV19-1 OMI’ 1·2상(2022-08-04) 등이 있다.

조민규 기자(kioo@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