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대출이자 더 오른다

이정필 2022. 8. 5. 10: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쟁 장기화로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은행들의 대출 금리도 지속해서 오르고 있다.

현재 4~5%대로 형성된 대출 금리는 연말 6~7%대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기준금리 인상기에 맞물려 주담대와 전세대출, 신용대출 금리가 평균 4~5% 수준으로 올라온 상황이다.

이 같은 흐름에 연말이면 대출 금리가 6~7%대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시중은행 대출금리 평균 4~5%대 형성
기준금리 인상 지속에 연말 6~7% 전망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검수하고 있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7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 달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386억1000만달러로 전월 말(4382억8000만달러)보다 3억3000만달러 증가해 4개월 연속 감소했던 외환보유액이 증가세로 전환했다. 2022.08.03.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전쟁 장기화로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은행들의 대출 금리도 지속해서 오르고 있다. 현재 4~5%대로 형성된 대출 금리는 연말 6~7%대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형(혼합형) 금리는 이날 기준 연 3.88~5.792%로 나타났다. 은행별로 ▲국민은행 3.88~5.28% ▲신한은행 4.15~4.98% ▲하나은행 4.492~5.792% ▲우리은행 4.92~5.70% ▲농협은행 4.14~5.64% 수준이다.

주담대 변동형(신규코픽스 6개월 기준)은 3.92~5.969%를 형성하고 있다. 은행별로 ▲국민 3.92~5.32% ▲신한 4.28~5.33% ▲하나 4.669~5.969% ▲우리 4.61~5.59% ▲농협 4.01~5.01% 등이다.

한때 상단이 7%를 넘어섰던 주담대 금리는 금융당국의 인하 주문 이후 5% 후반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하단이 올라오면서 범위가 4~5%대로 좁혀지고 실제 적용 이자가 평균 3%대에서 4% 이상으로 높아졌다.

전세대출 금리도 우상향 곡선을 그리며 3.87~5.769%를 보이고 있다. 은행별로 신규코픽스 6개월 기준 ▲국민 3.87~5.27% ▲신한 4.03~5.03% ▲하나 4.369~5.769% ▲우리 4.23~4.63% ▲농협 4.24~5.44% 수준이다.

신용대출 역시 올라가는 추세로 3.37~5.65%를 보이고 있다. 은행별로 금융채 6개월 기준 ▲국민 4.51~5.41% ▲신한 5.15~5.65% ▲하나 4.359~4.959% ▲우리 4.82~5.72% ▲농협 3.37~3.77%로 분포됐다.

기준금리 인상기에 맞물려 주담대와 전세대출, 신용대출 금리가 평균 4~5% 수준으로 올라온 상황이다. 실제 은행들이 취급하는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5%를 넘어섰다. 이 같은 흐름에 연말이면 대출 금리가 6~7%대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3%를 기록했다. 이는 우리나라에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덮쳤던 1998년 11월(6.8%) 이후 약 24년 만에 최대치다. 지난 6월(6.0%)에 이어 물가상승률이 두 달 연속 6%대로 치솟은 것도 1998년 10월(7.2%)~11월(6.8%) 이후 처음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로 글로벌 물가가 요동치면서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잇달아 올리고 있다. 미국은 최근 2번 연속 '자이언트스텝'(0.75%p 인상)을 밟으면서 기준금리가 2.25~2.50%로 올라가 상단이 우리나라(2.25%)를 넘어섰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달 11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0.5%p 인상하는 '빅스텝'을 밟았다. 영국 역시 기준금리를 1.25%에서 1.75%로 올리는 빅스텝을 27년 만에 단행했다.

이 같은 추세에 발맞춰 한국은행 역시 이달 기준금리 0.25%p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연말 기준금리는 2.75~3% 수준이 예상된다. 한은은 예상했던 물가상승률 전망을 벗어날 경우 빅스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oma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