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 직설] 버티던 서초구도 상승세 멈춰..부동산 시장 침체 본격화?

SBSBiz 2022. 8. 5. 10:2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 와이드 이슈& '직설' - 이현철 아파트사이클연구소 소장,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 소장,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해법을 찾는 토론, 이슈앤 직설 시작합니다. 전국 아파트값이 또 하락했습니다. 나 홀로 버티던 서울 서초구마저 보합으로 돌아섰는데요. 그런가하면 그동안 분양만 했다 하면 완판됐던 수도권 청약 시장에서 이제는 미분양이 나오고 있습니다. 집값 고점 인식 속에서 금리마저 오르면서 갈수록 집을 사겠다는 사람은 찾아보기 쉽지 않은데요. 본격 침체기로 접어든 건 아닌지. 부동산 시장 상황, 지금부터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Q.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주보다 0.07% 하락하면서 10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나 홀로 상승세를 보였던 서초구마저 보합으로 전환했는데요. 대세 하락 신호탄으로 봐야 할까요?

Q. 한때 천정부지로 치솟았던 세종시 아파트값이 지난해 7월 말부터 한주도 쉬지 않고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라면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빠질 가능성도 있을까요?

Q. 청약에 당첨되면 10억 원 상당 차익이 기대되는 경기도 하남의 ‘위례 포레자이’ 무순위 청약 1가구 모집에 4천여 명이 몰렸습니다. 많은 인원이 몰리긴 했지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청약시장에서도 ‘옥석 가리기’가 시작된 걸까요?

Q. 지방은 물론이고 ‘청약 불패’로 통하던 서울에서도 미분양과 청약에 당첨되고도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조만간 250만 호 공급 계획을 발표하는데요. 이 발표가 나오면 미분양 사태가 더 확대되지 않을까요? 

Q. 국토연구원에서 실시한 하반기 집값 전망 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4명은 “하반기 집값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반면, 공인중개사의 58%는 집값 하락을 전망했는데요. 일반 국민과 공인중개사의 전망이 이렇게 엇갈린 이유는 뭘까요?

Q.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매월 연금을 받는 금융상품인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올해 들어 급증하고 있습니다. 금리는 오르고, 집값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진 지금이 주택연금 가입 적기일까요?

Q. 집값이 전세가 보다 떨어지는 ‘깡통전세’가 지방 아파트와 수도권 빌라 등을 중심으로 우려됐었는데요. 최근엔 수도권 아파트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서울도 걱정해야 하는 상황까지 벌어질까요?

Q.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서울의 경우엔 8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전세대출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세입자들이 월세로 이동하면서 전세의 경우 세입자를 못 찾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이전에 있었던 전셋값 급등이 임대차법 자체의 문제라던 주장에 힘이 다소 빠지는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