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여행허가제 신속도입 추진..제주도·관광업계 '당혹'

김가람 2022. 8. 4. 21: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제주] [앵커]

최근 제주의 무사증 제도가 재개되면서 외국인 관광객의 무단이탈 문제도 다시 불거지고 있는데요,

법무부가 급기야 전자여행허가제를 제주에도 도입하겠다고 밝혀 도내 관광업계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방콕에서 태국 관광객을 태우고 온 전세기입니다.

최근 이틀 동안 이 전세기를 통해 온 태국인 관광객 360여 명 가운데 절반 넘는 200여 명이 입국을 거부당했습니다.

지난 6월 무사증 재개 이후 무단 이탈자가 늘면서 출입국 당국이 입국 심사를 강화했기 때문입니다.

법무부는 이에 더해 제주에도 전자여행허가제 도입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외국인이 현지에서 출발하기 전 우리 출입국 홈페이지에 개인정보 등을 입력해 여행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로 지난해 우리나라에 도입됐습니다.

관광산업의 영향을 고려해 제주만 제외됐는데, 오히려 불법체류 우회지로 악용되고 있다는 게 법무부의 판단입니다.

실제로 최근 제주를 찾은 태국인의 절반 이상은 전자여행허가를 신청했다 거절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법무부는 이번 조치로 불법체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대규모 입국 불허에 따른 외교적 마찰 등의 부작용도 예방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도내 관광업계는 무사증 제도를 사실상 무력화하는 것이라며 당혹해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관광시장이 재개되는 시점에 찬물을 끼얹는 조치라는 겁니다.

[김남진/제주도관광협회 본부장 : "가장 메리트는 노비자 지역이거든요. 그래서 이런 점들은 대승적인 차원에서 조금 더 검토하고, 현상들을 분석한 이후에 시행하는 것도."]

제주도는 조만간 출입국외국인청과 관광업계가 함께하는 간담회를 갖고 의견수렴에 나설 계획이지만, 법무부에서 강한 추진 의사를 밝히고 있어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강재윤/그래픽:조하연

김가람 기자 (garam@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