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돼지의 심장이 다시 뛰었다

김혜리 기자 2022. 8. 4. 21: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예일대 연구진 실험
혈관에 특수 용액 주입하자
간·뇌 등 장기 세포 '기능'
'죽음의 경계'에 질문 던져

미국 연구진이 죽은 지 한 시간이 지난 돼지의 장기들을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 이를 두고 삶과 죽음의 경계에 대한 기존의 정의에 새로운 의문점이 제기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예일대 연구진은 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죽은 돼지의 주요 장기들을 되살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을 이끈 네나드 세스탄 교수는 2019년 죽은 돼지에서 분리한 뇌의 일부 기능을 되살려 주목을 받았던 신경과학자다. 이번엔 비슷한 원리를 적용해 뇌뿐 아니라 전신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연구진은 인공 심폐장치와 비슷한 장치를 활용해 죽은 돼지의 혈관에 ‘오르간엑스(OrganEX)’라는 특수 용액을 주입했다. 이들이 개발한 오르간엑스는 영양분, 항염증제, 세포사 예방제, 신경 차단제, 인공 헤모글로빈과 돼지의 피 등이 혼합된 혈액 모방 용액이다. 이 용액을 주입하자 멈춘 지 한 시간이 지난 돼지의 심장이 다시 뛰기 시작했을 뿐 아니라 간, 신장, 뇌 등 주요 장기의 세포들도 기능하기 시작했다.

다만 연구진은 돼지의 의식은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진단했다. 오르간엑스에 포함된 신경 차단제가 뇌 신경 활성화를 막았기 때문이다. 개별 뇌세포가 살아나도 뇌에서 전체적으로 조직적인 신경 활동의 징후는 없었다. 촬영을 위해 요오드 조영제를 주사하자 돼지가 머리와 상체 등을 홱 움직여 연구진이 깜짝 놀라는 일이 벌어졌지만, 연구진은 돼지의 머리가 움직인 이유는 확실치 않다면서도 우선 뇌와는 무관한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오르간엑스로 되살린 돼지의 장기가 얼마나 작동했는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해당 연구에 참여한 즈보니미르 블셀자는 “사망 후 부패가 얼마나 빨리 시작되는지를 고려한다면 이번 연구 결과는 놀랍다”고 전했다.

예일대는 이 기술의 특허를 출원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심하게 손상된 심장이나 뇌를 복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지 살펴볼 예정이며, 장기 수명을 연장해 인간의 장기 이식 수술을 위한 장기 공급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예일대 ‘생명윤리를 위한 학제 간 연구센터’의 스티븐 라탐 소장은 이를 인체에 적용하기까지는 “한참 남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삶과 죽음을 구분짓는 기존의 경계에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뉴욕대 그로스먼 의대의 브렌던 페어런트 이식윤리정책연구국장은 “죽음의 의학적, 법적 정의에 따르면 이 돼지는 죽은 상태였다”면서 “중요한 문제는 어떠한 기능이 그러한 정의를 바꿀 수 있느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다른 시대에선 죽은 것으로 여겼을 사람들이 지금은 살아있다”면서 과거 인공호흡기가 개발됐을 당시와 비슷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혜리 기자 harr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