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주구장창 보던 배달앱, 거리두기 풀리니 전세계 이용 뚝

박정일 2022. 8. 4. 19: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로 지난해 전 세계 식음료 애플리케이션(앱) 이용 시간이 6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올해 1분기는 전분기보다 다운로드 수와 이용 횟수가 모두 줄며 성장세에 제동이 걸렸다.

에이아이(data.ai)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간 전 세계 소비자는 식음료 앱에 55억 시간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지난해 전 세계 식음료 애플리케이션(앱) 이용 시간이 6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올해 1분기는 전분기보다 다운로드 수와 이용 횟수가 모두 줄며 성장세에 제동이 걸렸다.

국내의 경우 배달의민족이 이용자 수 1위를 차지했으며, 요기요, 쿠팡이츠, 스타벅스, 마켓컬리, 버거킹 등이 뒤를 이었다.

4일 모바일 앱마켓 분석 사이트 데이터.에이아이(data.ai)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간 전 세계 소비자는 식음료 앱에 55억 시간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65% 늘어난 숫자다.

한국은 올해 3월 기준 지난 1년간 약 1억7000만 시간을 식음료 앱에 쓴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1억2000만 시간 대비 40% 늘어난 수치다.

이처럼 성장세를 이어가던 식음료 앱 다운로드 수는 올 들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운로드 수는 작년 1분기(3억9000만건)부터 4분기(4억4000만건)까지 소폭 성장하다 올해 1분기(4억2000만건) 처음으로 전분기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이용 횟수를 나타내는 세션 수도 작년 1분기(373억 세션)부터 4분기(585억 세션)까지 빠른 성장을 보이다 올해 1분기(574억 세션) 처음으로 하락했다.

한국은 전 세계 추이와 다르게 이미 지난해 1분기부터 앱 다운로드 수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 한국 내 다운로드 수는 1180만건으로 작년 1분기 1330만건보다 11.3% 줄었다.

한국 내 세션 수는 전 세계 추이와 비슷하게 지난해 4분기(15억9000세션)까지 성장하다 올해 1분기(15억6000세션) 소폭 하락했다.

올해 1분기 기준 국내 식음료 앱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 1위는 배달의민족으로 나타났으며 요기요, 쿠팡이츠, 스타벅스, 마켓컬리, 버거킹, 만개의 레시피가 뒤를 이었다. 1위부터 7위까지 순위는 2021년 1분기부터 5분기 연속으로 똑같이 유지되고 있다.

데이터.에이아이는 "간단한 모바일 앱 조작만으로 음식을 배달시키거나 장을 보고, 요리를 준비하는 등 대유행 중 자리 잡은 소비 습관에 큰 변화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