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850만회..中·러 사이버공격에 대만 정부 홈피 마비"

정혜인 기자 2022. 8. 4. 17: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권력 서열 3위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미·중 갈등은 물론 대만해협 내 무력충돌 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발 인터넷 공격에 대만 정부의 주요 홈페이지가 한때 마비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대만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어우장안 대만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펠로시 의장이 대에 도착한 지난 2일 밤 중국과 러시아 등지의 인터넷프로토콜(IP)을 통한 과도한 접속 시도가 있었고, 이에 따라 외교부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현상이 있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3일(현지시간) 중국의 격렬한 반발 속 방문한 대만의 타이베이 의회에 도착해 취재진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AFPBBNews=뉴스1

미국 권력 서열 3위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미·중 갈등은 물론 대만해협 내 무력충돌 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발 인터넷 공격에 대만 정부의 주요 홈페이지가 한때 마비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대만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어우장안 대만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펠로시 의장이 대에 도착한 지난 2일 밤 중국과 러시아 등지의 인터넷프로토콜(IP)을 통한 과도한 접속 시도가 있었고, 이에 따라 외교부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현상이 있었다"고 밝혔다.

어우 대변인은 "당시 중국, 러시아 및 기타 지역의 다수 IP에서 분당 최대 850만회에 이르는 접속 시도가 이뤄지는 비정상적인 정황이 포착됐다"며 "이는 분명 (외교부) 홈페이지의 운영을 고의로 마비시키려는 의도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해외 적대세력의 사이버 공격이 또 발생할 수 있을 만큼 외교부는 지속해서 경계를 강화해 신속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 이외 대만 총통부 홈페이지도 펠로시 의장의 대만 도착 불과 몇 시간 전 디도스(DDoS) 공격으로 약 20분간 접속이 제한됐었다. 대만 TVBS 소속 팅팅루 기자는 지난 2일 트위터에 "현지시간으로 오후 5시 15분경 총통실이 대회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며 "이번 공격 트래픽은 정상 대비 200배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펠로시 의장은 2일 말레이시아 쿠알아룸푸르에서 이륙한 지 7시간 만이 지난 2일 오후 10시 43분(현지시간)경 대만에 도착했다.

4일(현지시간) 중국군이 발사한 발사체에서 나온 연기가 푸젠성의 핑탄섬에서 보인다. 중국군은 이날 낮, 낸시 펠로시 미국 국회의장의 대만 방문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사실상 대만을 포위하는 군사훈련을 시작했다. /AFPBBNews=뉴스1

중국은 '대만 독립을 지지하는'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미·중 간 합의 사항인 '하나의 중국' 원칙을 크게 훼손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반발하며 보복 행위에 나서고 있다.

다만 보복의 초점은 미국이 아닌 대만에 집중됐다. 부담스러운 미국과의 정면충돌은 피하고 일단 대만을 주요 보복 대상으로 삼아 미국을 우회적으로 압박하겠다는 전략을 선택한 셈이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는 지난 1일 대만산 차, 과자 등 100여 개 브랜드 제품의 수입을 일시 중단한 데 이어 3일에는 대만산 감귤류, 냉동 전갱이, 냉장 갈치 등의 수입도 막았다. 상무부는 3일부터 대만에 대한 천연 모래 수출을 중단했다. 국무원 대만판공실은 대만 독립과 관련된 단체의 중국 내 활동과 관계자의 중국 입국을 막았다. 또 관련 단체에 기부한 대만 기업 4곳과 중국 조직·기업 간의 협력에도 제동을 걸었다.

한편 중국군은 펠로시 의장이 대만을 떠난 직후인 이날부터 대만을 향한 군사적 위협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4일 12시(현지시간)부터 7일 12시까지 대만 북부와 동북, 북서, 동부, 남서, 동남 등 6개 해역과 영공에서 실탄사격을 전제로 한 대규모 군사훈련에 돌입했다. 훈련에는 중국판 스텔스기 젠-2와 훙-6K 폭격기, 052D형 구축함 등 주력 무기들이 총동원됐다.

인민해방군 동부전구사령부는 성명을 통해 "대만해협 동부의 특정 지대에 대한 정밀 타격을 실시했고 기대했던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AFP통신은 대만해협 인근 군사시설에서 여러 개의 작은 발사체가 연기과 굉음과 함께 하늘로 발사되는 것을 포착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식물'로 연매출 18억 올린 38세 CEO…서장훈도 '깜짝'"낸시랭, 그러니 맞고 살지" 김부선 막말 사과…"꼭지 돌았었다"'이휘재♥' 문정원, 먹튀 논란 후 19개월만 SNS…의미심장 글정형돈 "출산 앞둔 아내 목 졸랐다"…쿠바드 증후군 고백최여진 "5년 만났는데 결혼 피하니 이별…아무 일 없었는데"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