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2Q 영업이익 556억원..전년비 35.2% 감소

박종진 2022. 8. 4. 17: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J ENM이 2분기 매출 1조1925억원, 영업이익 556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 경쟁력 확대와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했으나 수익성 부진에 따라 영업이익은 35.2% 감소했다.

미디어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4% 증가한 7228억원, 영업이익은 56% 감소한 254억원을 기록했다.

음악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3% 증가한 924억원, 영업이익은 589.4% 늘어난 148억원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J ENM이 2분기 매출 1조1925억원, 영업이익 556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 경쟁력 확대와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했으나 수익성 부진에 따라 영업이익은 35.2% 감소했다.

미디어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4% 증가한 7228억원, 영업이익은 56% 감소한 254억원을 기록했다. '우리들의 블루스' '환혼' '유미의 세포들 시즌2' 등 프리미엄 지식재산(IP) 경쟁력 강화를 통한 채널 성장으로 TV광고가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다. 콘텐츠 판매는 258.9% 증가했고 티빙 매출도 122.1% 늘어났다.

지난해 인수한 엔데버 콘텐트가 제작한 'See 3' 'Surfside Girls' 등 프리미엄 콘텐츠 판매가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매출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미디어 부문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하반기에는 채널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리즈 등 글로벌 콘텐츠 판매를 지속 확대하고 '디글' '스튜디오 와플' 등 디지털 채널도 강화한다. 티빙은 파라마운트플러스 제휴, 엔데버 콘텐트 작품 공개, 오리지널 IP 등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강화해 점유율을 확장할 계획이다.

음악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3% 증가한 924억원, 영업이익은 589.4% 늘어난 148억원을 기록했다. 자체 아티스트 INI 두번째 미니앨범과 JO1 두번째 정규앨범이 오리콘 차트 1위 기록, '케이콘 월드 프리미어'·임영웅 등 국내외 콘서트 매출 증가에 따라 영업이익이 급증했다.

영화 부문은 2분기 매출 256억원, 영업손실 4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브로커'와 '헤어질 결심'이 칸 국제영화제 수상으로 해외 판매 호조를 보였으나 국내 박스오피스에서 부진했다. '극한직업' IP 리메이크작 베트남 'Extremely Easy Job'과 터키 시장 배급 대행을 맡은 'Mutlu Oyuncak Dkkanı' 등이 성공리에 현지 개봉했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 3517억원, 영업이익 195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리오프닝 분위기에 따른 오프라인 소비 쏠림 현상 심화와 TV 송출수수료·투자 비용 증가로 지난해보다 실적이 감소했다.

CJ ENM 관계자는 “상반기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콘텐츠 영향력을 지속 확대했고 음악사업 역시 일본을 중심으로 아티스트 해외 사업을 강화하는 등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하반기에는 독보적 콘텐츠 경쟁력과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에 기반한 수익성 제고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