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백신접종 중 이상반응 신고 0.37%..사망 1천762건

임종윤 기자 2022. 8. 4. 13:5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1∼4차 접종이 지금까지 총 1억 2천600여만 건 이뤄졌으며, 이중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건수는 전체의 0.37%인 47만 3천여 건으로 나타났고 사망 신고 사례는 1천700여 건에 달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은 오늘(4일)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시작된 2021년 2월 26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백신 이상반응 사례를 기간별로 분석해 발표한 적은 있었지만 전체 통계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기간 전체 백신접종 건수는 1억 2천672만 5천952건, 이중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건수는 47만 3천755건(0.37%)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상반응 신고 건수 중 통증과 발열, 근육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6.0%(45만 4천896건)이었고 영구장애나 중증, 아나필락시스 등을 일으키는 주요 이상반응은 3.6%(1만 7천97건), 사망은 0.4%(1천762건)로 나타났습니다.

백신 1천 건 접종 시 신고율로 보면 일반 이상반응 신고율은 3.59건, 주요 이상반응은 0.13건, 사망은 0.01건이었고 여자 4.73건, 남자 2.73건으로 여성의 신고가 약 1.7배 높았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4.91건으로 가장 높았고 80세 이상이 1.99건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백신별로 보면 얀센 5.87건, 아스트라제네카 5.41건, 모더나 4.52건, 화이자 3.05건, 노바백스 1.42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차수별 이상반응은 1차 5.36건, 2차 4.08건, 3차 1.65건, 4차 0.61건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증상별(10만 건 기준 비율)로 보면 두통 88.4건, 근육통 85.5건, 어지러움 54.3건, 흉통 50.7건, 메스꺼움 42.4건 순으로 나타났고 19세 이하는 흉통, 20세부터 49세까지는 두통, 50세부터 79세까지는 근육통, 80세 이상은 어지러움의 신고율이 높았습니다.

이상반응 증상이 발생할 때까지 평균 4.97일이 걸렸고, 이중 주요 이상반응은 9.8일, 사망은 17.04일로 나타났으며 19세 이하가 3.69일, 80세 이상이 6.39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상 발생까지 소요일이 길었습니다.

소아·청소년(5∼18세)의 경1천131건의 이상반응 사례가 신고됐으며, 이 중 일반 이상반응은 2만 507건(97.0%)으로 나타났고 중대한 이상반응을 일으킨 경우는 624건(3.0%)으로 집계됐습니다.

증상별(10만 건 기준 비율)로 보면 두통 88.4건, 근육통 85.5건, 어지러움 54.3건, 흉통 50.7건, 메스꺼움 42.4건 순으로 나타났고 19세 이하는 흉통, 20세부터 49세까지는 두통, 50세부터 79세까지는 근육통, 80세 이상은 어지러움의 신고율이 높았습니다.

이상반응 증상이 발생할 때까지 평균 4.97일이 걸렸고, 이중 주요 이상반응은 9.8일, 사망은 17.04일로 나타났으며 19세 이하가 3.69일, 80세 이상이 6.39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상 발생까지 소요일이 길었습니다.

소아·청소년(5∼18세)의 경1천131건의 이상반응 사례가 신고됐으며, 이 중 일반 이상반응은 2만 507건(97.0%)으로 나타났고 중대한 이상반응을 일으킨 경우는 624건(3.0%)으로 집계됐습니다.

5∼11세는 96건, 12∼18세는 2만 1천35건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신고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12∼18세 중 1천 건당 신고율은 1차 접종이 2.89건, 2차 접종 3.67건, 3차 접종 2.67건으로 2차 접종 때의 이상반응 신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신부의 경우 총 50건의 이상반응이 신고됐으며, 이 중 화이자를 1차 접종한 임신부 1명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고율은 접종 시행 초기인 2021년 10주에 '1,000건당 18.5건'에서 2022년 28주에는 '0.2건'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