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식량 안보 위기에 ‘흑토보호법’ 전격 시행

도쿄/성호철 특파원 2022. 8. 4. 04: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1일 유기질이 풍부한 ‘흑토(黒土)’를 보호하는 법률을 제정했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정부의 허가 없이 흑토지대의 토지를 매매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흑토를 퍼 갈 경우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위반 때는 1㎥당 최대 5000위안(약 97만원)의 벌금이 부과된다.

흑토는 부패한 나무·풀 등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어 농업에 가장 적합한 토지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 이외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북미, 아르헨티나 등지에도 존재하지만, 한 국가가 흑토를 대상으로 한 법을 제정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법은 특히 중국 둥베이지방의 헤이룽장, 지린, 랴오닝 등 3성과 네이멍구 자치구에 넓게 분포하는 흑토를 보호 대상으로 한다.

중국 정부가 흑토법을 제정한 것은 식량 안보에 위기를 느낀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자국 내 식량 생산량을 늘리려 하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둥베이지방의 흑토지대는 옥수수나 보리 등 곡물과 콩, 고구마 등까지 포함해 중국 식량 생산량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흑토에 과도하게 비료를 쓰면서 열화 현상이 생겼고, 흑토지대의 생산 능력이 10% 정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중국 가정에서 원예용으로 흑토를 선호하면서 흑토를 대량으로 퍼 가, 판매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인의 식량은 우리 손안에 있어야 한다”는 발언을 여러 차례 반복할 정도로, 식량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2020년 7월 지린성을 시찰했을 때는 “흑토는 경작지의 판다와 같은 존재”라며 “잘 보호하고 잘 이용해서 인민을 행복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일본의 자원식량문제연구소 시바타 아키오 대표는 “중국은 자국 내 생산을 중시한다는 방침이지만, 생산자의 고령화나 토양 열화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며 “시진핑 정권으로선 불안감이 매우 클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