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발사 D-1.. 5일 '팰컨9' 타고 달나라로

케이프커내버럴(미국)=정인선 기자 2022. 8. 3.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달 5일 우주 항행을 시작하는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KPLO)의 발사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지난 6월 발사에 성공한 데 이어 이번에는 다누리 임무 완수로 명실상부 세계 7대 우주 강국에 합류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린다.

앞서 다누리는 지난달 5일 항우연 대전 본원에서 온도·습도·양압 유지와 충격흡수가 가능한 특수 컨테이너에 실려 미국 발사장으로 이송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일 페어링 모듈 탑재, 발사체 결합 작업 순조
한국시간 8월 3일 오전 12시쯤(현지시간 2일 오전 11시쯤) 다누리 발사장인 케네디스페이스센터 40번 발사대의 원거리 모습. 사진=케이프커내버럴(미국) 공동취재단

이달 5일 우주 항행을 시작하는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KPLO)의 발사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지난 6월 발사에 성공한 데 이어 이번에는 다누리 임무 완수로 명실상부 세계 7대 우주 강국에 합류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린다.

3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다누리는 5일 오전 8시8분쯤(현지시간 4일 오후 7시8분쯤)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에 실려 우주로 발사된다.

항우연은 현재 다누리를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 모듈에 탑재하고, 이 페어링 모듈을 발사체 팰컨9(Falcon-9)과 결합하는 작업으로 분주한 상태다. 결합이 완료되면 발사 전 하늘을 향해 기립한 뒤 추진제 공급계 연결 작업 등을 진행하게 된다. 발사 약 38분 전부터 연료와 산화제를 충전하고, 35분 전부터는 발사 자동 운용을 가동한다.

다누리는 발사 후 40분23초 뒤 발사체에서 분리된다. 60분 뒤에는 지상국과 첫 교신을 하고, 발사 24시간 뒤에는 고이득 안테나를 통해 본격적인 교신을 시도한다. 이후 최대 9차례 궤적 수정 기동을 하면서 137일(약 4개월 반)의 항해 끝에 오는 12월 달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달 상공 100㎞의 임무 궤도를 하루에 12회 공전하며, 6개의 탑재체로 달 착륙 후보지 탐색, 달 자기장·방사선 관측, 우주인터넷 기술 검증 등을 1년간 수행한다.

다누리가 발사되는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는 미국 내에서도 지구 적도와 가장 가까운 발사장이다. 적도에 가까울수록 지구 자전 속도를 이용해 연료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당초 다누리 발사일은 이달 3일 오전 8시20분(현지시간 8월 2일 오후 7시20분) 예정이었으나, 발사 용역업체 스페이스X사가 발사체 점검 과정에서 추가 작업이 필요한 부분을 발견하면서 발사 일정이 순연됐다.

항우연은 준비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예비기간(9월 9일까지) 내에 발사를 다시 시도할 방침이다. 당초 설계에 따라 예비기간 중 어느 날짜에 발사하더라도 달 궤도 진입 날짜(12월 16일)나 임무 궤도 진입 일정(12월 31일)은 변동이 없다.

발사는 미 우주군 기지 40번 발사대에서 이뤄진다. 이상이 생길 경우를 대비해 아폴로 11호가 발사된 바 있는 '39A 발사장'이 예비 발사장으로 지정돼 있다.

앞서 다누리는 지난달 5일 항우연 대전 본원에서 온도·습도·양압 유지와 충격흡수가 가능한 특수 컨테이너에 실려 미국 발사장으로 이송됐다. 이어 같은 달 7일 미 우주군 기지 내 스페이스X 탑재체 조립 시설 PPF(Payload Processing Facility)에 도착해 통신 시험, 추진제 충진, 발사체 어댑터 결합 등 본격적인 발사 준비 작업을 거쳤다.

다누리 CG.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다누리는 가로 2.14m, 세로 1.82m, 높이 2.29m, 무게 678㎏이다. 국내 대기업 6개사, 중소기업 34개사, 대학교 13곳, 정부출연연구기관 6곳 등 총 59개의 산학연이 개발에 참여했다. 2016년 1월부터 시작된 이 사업의 예산은 약 2367억원 규모다.

연구진은 우주 방사선 등에서 다누리를 보호하기 위해 다층으로 구성된 박막 단열재 가장 바깥쪽에 전기 전도성 성질이 우수한 '블랙 캡톤'(Black Kapton)층을 추가했다. 이에 다누리는 검은색 옷을 입게 됐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