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위기만 세 차례..미·중, 뿌리 깊은 '대만 갈등'

노유정 2022. 8. 3. 16: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만을 사이에 둔 미·중의 대립은 뿌리가 깊다.

미중 관계가 냉각된 시점에서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은 4차 대만해협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6.25전쟁 이후 대만의 전략적 중요성을 깨달은 미국은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 대만과 상호방위조약 체결 논의에 들어갔다.

그러나 중국에게 1~3차 대만해협 위기는 미국의 군사력에 굴복한 치욕으로 남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커지는 '4차 대만해협 위기' 우려

대만을 사이에 둔 미·중의 대립은 뿌리가 깊다. 1949년 대만 정부가 세워진 후에만 세 차례 전쟁 직전의 갈등을 겪었다. 남중국해와 동중국해를 연결하는 요충지인 대만해협에서 발발한 ‘1~3차 대만해협 위기’다. 미중 관계가 냉각된 시점에서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은 4차 대만해협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차 대만해협 위기는 중국 국공내전 이후인 1954년 발발했다.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에 패배한 국민당의 장제스 주석은 대만에 자리잡았다. 6.25전쟁 이후 대만의 전략적 중요성을 깨달은 미국은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 대만과 상호방위조약 체결 논의에 들어갔다. 이에 반발한 중국은 1954년 8월 대만 금문도를 포격했다. 미국은 대만에 해군력을 배치하며 지원했고 그해 말 대만과 상호방위조약을 맺었다. 이듬해 5월 중국이 미국과의 타협을 선택하며 상황은 일단락됐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3일 대만 타이베이 총통부에서 열린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의 회담 도중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년 뒤인 1958년 중국이 금문도에 또다시 포격을 가하며 2차 위기가 시작됐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포탄 47만 발을 대만에 퍼부었고 대만도 12만 발을 발사하며 대응했다. 미국은 함선과 전투기를 보내 대만을 지원했다. 지난해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한 1966년 펜타곤 기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군은 당시 중국 본토에 핵공격을 검토했다. 중국은 다시 한 번 미국과 타협하기를 선택했고 1979년 미·중 수교를 맺으며 포격은 중단됐다.

가장 최근인 3차 위기는 27년 전인 1995년 발발했다. 대만 독립을 주장하던 리덩후이 당시 총통이 그해 6월 모교인 미국 코넬대에서 연설을 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면서다. 중국은 이를 ‘하나의 중국’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였다. 1995년 7월과 이듬해 중국은 대만 인근 해역에서 미사일 발사를 동반한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그러자 미국은 항모전단 2개를 대만해협에 급파했다. 베트남 전쟁 이후 동아시아에 배치한 병력 규모로 최대였다.

리 총통이 재선된 후 중국과 미국이 각자 병력을 철수하며 상황은 종료됐다. 그러나 중국에게 1~3차 대만해협 위기는 미국의 군사력에 굴복한 치욕으로 남았다. 중국은 이후 국방력 본격 강화에 나섰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