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쇼크' 저소득 근로자 실질임금 추락..자영업자 3명 중 1명 "폐업 여부 고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월 소비자물가가 6.3% 상승하면서 물가 쇼크가 근로자들과 자영업자, 취약계층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물가를 고려한 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은 하락했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7.56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 오른 점을 고려하면 임시일용근로자 실질임금은 거꾸로 감소한 셈이다.
치솟은 물가에 자영업자 3명 중 1명은 폐업을 고려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물가상승률 고려 실질임금 366만원 불과
자영업자도 고물가에 순이익 11.8% 감소
7월 소비자물가가 6.3% 상승하면서 물가 쇼크가 근로자들과 자영업자, 취약계층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물가를 고려한 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은 하락했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임금의 ‘부익부 빈익빈’도 심화되고 있다. 정규직 임금은 17만4000원이 오르는 동안 일용직은 4만5000원 오르는 데 그쳤다. 물가로 고통받는 건 자영업자도 마찬가지다. 자영업자들의 순이익은 10% 이상 감소해 3명 중 1명은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88만3000원(명목임금)이다. 명목임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21만7000원) 늘었다. 그러나 이를 물가상승률과 비교해 산출한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전년(360만5000원)보다 1.5%(5만5000원) 증가한 366만원에 불과했다.
지난 1~4월에도 월평균 명목임금은 6.1% 올랐다. 그러나 실질임금은 2.0% 오르는 데 그쳤다. 물가가 치솟으면서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의 상승률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이는 1~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6.09로, 1년 전보다 4.3%나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전년 동기 대비 1.9% 오른 것과 비교하면 2배 넘게 물가가 급등한 셈이다.
임금의 ‘부익부 빈익빈’도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5월 임시 일용노동자의 임금총액은 174만3000원으로, 2.7%(4만5000원) 올랐다. 이에 비해 상용근로자 임금총액은 5.3%(19만2000원) 오른 378만7000원을 기록했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7.56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 오른 점을 고려하면 임시일용근로자 실질임금은 거꾸로 감소한 셈이다.
사업체 규모에 따른 임금인상 수준도 격차가 컸다.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의 평균임금은 511만1000원으로 8.1%(38만5000원)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300인 미만 사업체 임금은 329만2000원으로 4.1%(13만1000원) 오르는 데 그쳤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300인 이상 근로자들의 임금은 2.6% 오른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는 1.2% 감소한 것이다.
고물가에 신음하는 건 저소득 근로자만이 아니다. 치솟은 물가에 자영업자 3명 중 1명은 폐업을 고려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조사’ 결과를 보면, 올 상반기에 자영업자의 70.6%는 매출 감소를 경험했고 매출 감소폭은 평균 13.3%에 달했다.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평균 11.8% 줄었다. 올 하반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자영업자 비율은 59.0%에 달했다. 특히 자영업자 33.0%는 폐업을 고려하고 있었다. ‘영업실적 감소’(32.4%), ‘임차료 등 고정비 부담’(16.2%), ‘자금 사정 악화 및 대출 상환 부담’(14.2%), ‘경영관리 부담’(12.1%) 때문이다.
최근의 고물가 쇼크가 모든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정도는 사뭇 다른 셈이다. 특히 임시일용직 근로자를 포함한 저소득층과 영세 자영업자, 취약계층에게 더욱 가혹한 고통을 가져다주고 있다. 정부의 물가대책도 금리인상과 관세인하를 통한 수입물가 억제 등 전체 국민을 위한 대책 못지않게 상대적으로 많은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을 집중 지원하는 대책이 더욱 긴요한 셈이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 탱크로리 기사 “사람을 죽일 뻔 했습니다”…아찔한 순간 공개
- ‘44kg 감량’ 최준희, 다이어트 비결은?
- 文 여름휴가 소식에 집회 멈춘 평산마을…일주일 ‘평온’
- “굵고 단단하네” 남성 몸 만지는 여성…농산물 홍보영상 맞아?
- 구준엽, 아빠 되나? ...쉬시위안, 임신설에 母는 "딸 나이가 45세" 부인
- “10일새 300만원 벌었다, 실화냐?” 폭염 속 ‘돌아온’ 고수익 배달
- "성형 1번지 한국, 가상 인플루언서 열풍"…CNN의 경고
- “남들 짝짓기 보기 이젠 지겹다” 넷플릭스까지 점령한 ‘판박이’ 연애
- “별풍선으로 수억원 벌던 ‘이 분들’” 어쩌다 이런 일이
- 훔친 車로 배달알바 사망케 한 촉법소년들…이번엔 중학생 잔혹 폭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