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2020년생 '평생 겪을 폭염' 1960년생보다 12배 많다

김승환 2022. 8. 1. 17: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뜨거운 여름의 전반전이 막 끝났다.

당신이 올해 현재(7월 말 기준)까지 맞닥뜨린 폭염(일 최고기온 33도 이상)은 모두 7.6일(전국 평균·기상청 집계)이었다.

기상청은 수도권 기준으로 2081∼2100년 폭염일수가 2000∼2019년 대비 3.2∼11.1배 늘어날 것이라 전망한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폭염의 세대 간 불평등' 연구 결과
한국, 전세계 5번째로 심각한 국가
"도시화로 기온 ↑·고령화로 노출 ↑"
뜨거운 여름의 전반전이 막 끝났다. 당신이 올해 현재(7월 말 기준)까지 맞닥뜨린 폭염(일 최고기온 33도 이상)은 모두 7.6일(전국 평균·기상청 집계)이었다. 이는 예년(1991∼2020년 평균 4.9일)보다 55% 이상 많은 수치다.
사진=뉴시스
당신이 사는 동안 겪게 될 폭염은 부모 세대가 평생 겪은 것보다 훨씬 더 많을 수밖에 없다. 아무도 원치 않는 이 ‘대물림’은 당신의 자녀에게, 그리고 그 자녀의 자녀에게로, 빠르게 몸집을 불려가며 진행될 것이다. 온실가스 농도가 상승을 멈출 때까지 말이다. 단순히 나중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미래세대는 더 잦고, 더 심각한 폭염을 견뎌야 하는 셈이다. 이런 점에서 폭염은 ‘재난의 세대 간 불평등’이란 사회 문제이기도 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그저 팔짱만 끼고 쳐다볼 처지가 못 된다. 한국이 폭염의 세대 간 불평등이 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심각한 국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1일 세계일보가 벨기에 브뤼셀자유대학 빔 티에리 교수 연구팀으로부터 ‘국가별 1960년생·2020년생 간 극단기후 노출’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한국의 2020년생은 조부모 세대인 1960년생보다 평생 겪게 되는 폭염이 12.3배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 11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당사국총회(COP26)에 각 나라가 제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가 성공적으로 이행돼 지구 온도 상승이 2.4도로 제한됐을 때를 가정한 것이다.

한국의 결과값은 전체 178개 국가 중 아프가니스탄(18배), 타지키스탄(15.9배), 캄보디아(12.7배), 지부티(12.4배)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았다. 티에리 교수는 이메일 인터뷰에서 현 시점에서 각 나라의 값이 크고 적은 이유를 특정하긴 어렵다며 “규모가 작은 나라는 결과값의 불확실성이 높을 수 있단 걸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 전망을 고려하면 한국의 예상값을 터무니없는 결과로만 받아들이긴 어려워보인다. 기상청은 수도권 기준으로 2081∼2100년 폭염일수가 2000∼2019년 대비 3.2∼11.1배 늘어날 것이라 전망한 바 있다. 채여라 한국환경연구원(KEI)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은 도시화로 기온상승이 전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평균수명이 길어져 폭염에 노출되는 기간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런 점이 폭염의 세대 간 불평등을 키우는 요인이 아닐까 싶다”고 했다.

이 연구는 국가별 기대수명 자료(UN)와 미래 지구 온도 궤적 전망(IPCC), 극단기후 전망(ISMIP), 과거·미래 인구집단 자료(〃), 국가 규모 집단 자료(비트겐슈타인센터)를 조합해 분석한 것이다. 지난해 9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극단 기후 노출의 세대 간 불평등’이란 제목으로 발표됐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