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경제 버팀목.. 25년만에 '쌍둥이 적자' 가능성 커져

전세원 기자 2022. 8. 1. 11: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역수지가 약 14년 만에 4개월(올해 4∼7월)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하면서,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복합 위기에 시달리는 한국 경제가 '쌍둥이(재정+경상) 적자'의 늪에 빠질 것이라는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7월 무역수지는 46억7000만 달러 적자를 보여 지난 4월부터 4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회 출석한 秋·李 : 추경호(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14년 만에 넉달 연속 적자

지난달 수출 전년比 9% 늘고

수입 21% 치솟아 적자폭 커져

올 적자규모 66년만에 최대치

정부, 마땅한 카드도 없는데다

코로나 확산에 소비까지 줄면

경제성장률 본격 내리막길 우려

무역수지가 약 14년 만에 4개월(올해 4∼7월)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하면서,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복합 위기에 시달리는 한국 경제가 ‘쌍둥이(재정+경상) 적자’의 늪에 빠질 것이라는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쌍둥이 적자를 기록한 것은 1997년 외환위기가 마지막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보복 소비’에 힘입어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이 상승세를 유지하긴 했지만, 최근 들어 수출 증가율마저 둔화하면서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이 발표한 2022년 7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50억2500만 달러(약 19조6000억 원)로 집계됐다. 지난달 수출은 607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555억 달러) 대비 9.4% 증가했으나, 수입은 653억7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537억 달러)보다 21.8%나 치솟았기 때문이다. 올해 무역수지 적자 규모(150억2500만 달러)는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지난 1956년 이후 66년 만에 최대치다.

7월 무역수지는 46억7000만 달러 적자를 보여 지난 4월부터 4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6∼9월 이후 14년 만이다. 올해 월별 적자 규모는 4월 24억8000만 달러, 5월 16억1000만 달러, 6월 25억7000만 달러에 이어 7월 46억7000만 달러로 커지고 있다. 앞서 올해 상반기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03억5600만 달러로 1956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의 여파로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입액이 수출액을 압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수출액은 기존의 7월 최고 실적인 지난해 7월(555억 달러) 대비 52억 달러(9.4%) 많았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주요국의 긴축 정책과 높은 기저효과에도 21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지난달(5.2%)에 이어 2개월 연속 한 자릿수 증가율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18년 7월(6.1%)과 8월(8.7%) 이후 처음이다. 수입은 지난 3월부터 5개월 연속 600억 달러대를 웃돌았다. 이달 원유와 가스 등 에너지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달(97억1000만 달러) 대비 87억9000만 달러(90.5%) 증가한 185억 달러를 기록했다.

경제계는 경제 성장률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가 무역수지의 흑자 전환을 위해 쓸 수 있는 카드가 없는 데다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시장 예상보다 높은 0.7%(속보치·전 분기 대비)로 나왔으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민간 소비의 기여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화하며 민간 소비가 저조할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일 발표되는 소비자물가지수도 6% 중반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금리는 오르고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가계소비 둔화로 이어져 GDP 성장률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수입이 늘어나서 적자 규모가 커지고 있는데, 에너지는 동절기로 갈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 문제”라며 “결국 시장 다변화를 통해 수출을 늘리는 수밖에 없다”고 조언했다.

전세원·박수진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