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원숭이두창 첫 사망보고..실제 치명위험 어느 정도일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프리카 대륙 바깥에서 처음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증 사망자가 나온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 질병의 실제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다시 관심이 쏠린다.
현지언론은 원숭이두창이 풍토병화한 아프리카 외부에서 사망자가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보도한다.
과거 중앙아프리카에서 원숭이두창 감염자 중 10%가 사망한 사례가 있었지만 이는 현지의 열악한 의료환경이나 부족한 질병 감시체계 등이 겹쳐 발생한 이례적인 경우로 꼽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확진자 증상 경미..대다수는 치료없이 자연치유
남미 사망자는 면역저하자..기저질환 등 취약점 경계 필요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아프리카 대륙 바깥에서 처음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증 사망자가 나온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 질병의 실제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다시 관심이 쏠린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브라질 남동부 벨루오리존치에서 입원 치료 중이던 41세 남성 확진자가 패혈증으로 숨졌다. 림프종으로 면역체계가 손상된 환자였다.
스페인에서도 사망자 1명이 발생했다. 스페인 보건당국은 사망자의 신원이나 치료 경위 등은 밝히지 않았다.
현지언론은 원숭이두창이 풍토병화한 아프리카 외부에서 사망자가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보도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이들 중에서 사망에 이른 이들의 비율(치명률)은 1∼10% 정도다.
코로나19의 국가별 치명률이 0.1∼5.5%(미국 존스홉킨스대 집계)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그러나 원숭이두창의 높은 치명률은 제한된 환경에서 관측된 특수한 수치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과거 중앙아프리카에서 원숭이두창 감염자 중 10%가 사망한 사례가 있었지만 이는 현지의 열악한 의료환경이나 부족한 질병 감시체계 등이 겹쳐 발생한 이례적인 경우로 꼽힌다.
중증 환자를 치료할 능력도 부족한 데다, 실제 확진자 수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사망자 수만 유독 부각된 경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확산한 원숭이두창은 증상이 경미한 수준으로 전해지고 있다.
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에 따르면 원숭이두창은 별다른 치유 없이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다.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6∼13일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3주 후에야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도 있다. 보통 발열, 두통, 요통, 근육통, 림프절 부종, 피로감 등 증상이 나타난다.
발열 1∼3일 이후에는 두창바이러스들의 독특한 특징인 '발진'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얼굴, 손, 발, 입, 성기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수준이지만 이 반점이 부풀어오르기 시작하면 5∼7일 동안 고름이 들어찬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최근 확진자들은 이런 병변이 온몸에 퍼지는 것이 아니라 생식기 등에 1∼2개만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고름이 가득 찼던 물집에는 2∼4주에 걸쳐 딱지가 형성됐다가 떨어져 나가는데, 이 단계에서는 전파력이 사라진다고 한다.
치명률은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WHO가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해 각국이 감시체계를 매우 예민하게 가동하고 있다. 초기 확진자부터 보건당국이 파악하면 확진자 수는 부쩍 늘고, 사망자 수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다만 WHO와 CDC는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어린이나, 면역 관련 기저질환자 등은 원숭이두창 감염이 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더 크다고 경고했다. 브라질의 원숭이두창 사망자도 면역 저하자였다.
원숭이두창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DNA 형태로 가진 DNA 바이러스다. 변이 속도가 비교적 느린 편이다. 코로나19·에볼라바이러스 등 RNA 바이러스는 변이가 매우 활발하다.
학계와 의료계는 원숭이두창의 감염 전파력이나 중증도 등이 과거와 달라졌는지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아직 바이러스의 특징을 변화시킬 중대한 변이는 관측되지 않았다고 NYT는 전했다.
최근 확산세가 가팔라진 이유로는 동물에서 사람으로 바이러스가 이동할 수 있는 동물과 인간의 접촉이 더 많아졌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힘을 얻고 있다.
도시화·벌목 등으로 인간과 야생동물 서식지 사이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행·무역 등으로 각국의 교류가 갈수록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도 바이러스의 글로벌 전파를 부추기는 환경으로 꼽힌다.
id@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필라테스 강사 출신 배우 양정원, 사기 혐의 고소당해 | 연합뉴스
- 결혼 앞둔 특수교사 사망에 근조화환 160개 추모 행렬 | 연합뉴스
- "전우 시신밑 숨어 살았다"…우크라전 '생존 北병사' 주장 영상 확산 | 연합뉴스
- '흑백요리사' 트리플스타 레스토랑 공금횡령 의혹…경찰 내사 | 연합뉴스
- "잘못을 고백합니다"…'비빔대왕' 유비빔씨, 돌연 가게 접기로 | 연합뉴스
- 1960~70년대 그룹사운드 붐 이끈 히식스 베이시스트 조용남 별세 | 연합뉴스
- 경찰서 유치장서 40대 피의자 식사용 플라스틱 젓가락 삼켜 | 연합뉴스
- '머스크가 반한' 사격 김예지, 테슬라 앰배서더 선정…국내 최초(종합) | 연합뉴스
- 9살·10살 자녀 둔 30대 엄마 뇌사 장기기증으로 6명 살려 | 연합뉴스
- 지하 벙커 물 채워 감금…"13시간 남았어" 지인 가혹행위한 40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