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허브'에서 '전쟁허브'로?.."대만 침공 거점화하는 홍콩"

정열 2022. 7. 30. 06: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콩, 천혜의 군사거점 조건 갖춰..대만까지 전투기로 13분"
中, 홍콩의 군사적 가치에 무게..전쟁시 물류 인프라도 완벽

(서울=연합뉴스) 정열 기자 = 중국이 홍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과거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각광받았던 홍콩이 점차 대만 침공을 위한 '전쟁 허브'로 변모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홍콩에 주둔중인 중국 인민해방군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 공산당은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을 시행하면서 홍콩 주민들에 대한 정치적·사상적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이 사그라들지 않으면서 대만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항공모함 기항과 대규모 전투기 이착륙에 천혜의 환경을 가진 홍콩이 대만 침공의 거점으로 활용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홍콩 엑소더스'에도 아랑곳 않는 中…군사적 노림수 있나

중국은 1997년 영국으로부터 홍콩을 반환받으면서 50년 동안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자치권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 홍콩에 대해 중국과 다른 체제를 인정한다는 이른바 '일국양제'다.

그러나 홍콩 반환 25주년을 맞은 올해 이 약속이 지켜지고 있다고 믿는 사람은 거의 없다.

범죄인을 중국에 송환하는 법안에 반대하면서 시작된 2019년 대규모 시위 이후 홍콩의 분위기는 이전과 확 달라졌다.

반중 성향 언론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이뤄졌고 2020년 국가보안법이 발효되면서 언론과 사상, 의사 표현의 자유는 크게 위축됐다. 국가보안법 시행 1년 만에 홍콩을 떠난 주민은 9만여 명에 달했다.

뉴스위크 일본판은 2020년 9월부터 2021년 7월까지 홍콩의 학교를 중퇴한 학생 수가 2만5천 명에 달할 정도로 급속한 인재 유출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난 26일 보도했다.

홍콩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거점을 뒀던 글로벌 금융회사 70여곳도 싱가포르와 대만 등지로 거점을 옮기면서 '아시아 금융허브'로서의 홍콩의 위상도 크게 추락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크게 개의하지 않는 모습이다.

뉴스위크 일본판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탈출이 이어지면서 '아시아 금융허브'로서 홍콩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홍콩의 군사적 가치에 더욱 의미를 두고 있다.

항공모함이 기항할 수 있을 정도로 수심이 깊은 항구를 가진 홍콩은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군민양용(軍民兩用)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이 잡지는 설명했다.

홍콩항에 정박중인 중국 해군 함정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2015년에 카이탁 크루즈 터미널 확장공사가 마무리되면서 배수량 8만t급 항공모함 2척이 정박할 수 있게 됐고, 콰이충 지구에 면적을 넓혀가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많은 대형 전함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홍콩에는 각종 군용기 운용에 적합한 활주로가 과도할 정도로 많다.

미래의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2016년 건설을 시작한 홍콩국제공항의 세 번째 활주로가 올해 4월에 완공됐으며, 1998년 폐쇄됐던 카이탁국제공항의 이전 활주로는 모두 군사용으로 전용할 수 있다.

중국 전투기가 홍콩에서 이륙하면 약 13분 만에 대만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것도 장점이다.

아울러 홍콩은 전쟁 수행시 중요한 각종 물류 인프라가 완벽하게 갖춰져 필요할 경우 중국 각지로부터 철도나 트럭 운송망을 이용해 다양한 전쟁물자를 실어나를 수 있다.

뉴스위크 일본판은 "대만 침공의 거점화되고 있는 홍콩은 '국제금융센터'에서 '전쟁 허브'로 변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홍콩에 인민해방군 1만2천명 주둔…단기간에 10배로 증강 가능"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홍콩에는 이미 1만2천 명의 중국 인민해방군이 주둔하고 있다.

1997년 홍콩 반환과 함께 주둔하기 시작한 인민해방군은 2019년 6월 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되기 전만 해도 3천∼5천 명 수준이었으나 시위가 격화하면서 단기간에 병력이 1만2천 명까지 늘었다.

홍콩에 주둔하는 인민해방군은 홍콩섬, 카오룽(九龍)반도, 신계(新界) 등에 17개 군사시설을 운영 중인데, 필요할 경우 병력 규모를 훨씬 더 많이 늘려도 별 무리가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콩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스위크 일본판은 단기적으로 인민해방군 병력을 10배 규모로 늘려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홍콩 주민의 대거 해외 이주로 빈집이 된 주택을 증강 병력의 거처로 사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최근 홍콩에서 아파트나 단일 건물을 맹렬한 추세로 사들이고 있다.

다만 홍콩을 대만 침공을 위한 군사 플랫폼으로 활용하려면 정치적인 안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체제에 순응하지 않는 주민을 이주시키거나 복종시키는 등 대규모 '정치적 정화'를 수행하고 있다고 이 잡지는 설명했다.

즉, 글로벌 기업과 주민의 대규모 해외 이주로 '아시아 금융허브'로서의 홍콩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홍콩의 군사적 가치가 더 크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것이다.

뉴스위크 일본판은 "국제적 금융센터를 '전쟁 허브'로 탈바꿈시키는 전략은 전쟁 중에는 적을 속이는 것이 좋다는 중국 특유의 군사철학이 깔려 있다"며 "대만과 우호국들은 위험한 속임수의 가능성을 무시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passio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