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근로자의 퇴사행렬

Peggy Noonan 2022. 7. 30. 00: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인의 삶과 노동시장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퇴사자는 늘었고 경제활동 참가율은 코로나19 팬데믹 전보다 낮아졌다.

팬데믹으로 보육시설이 문을 닫자 많은 여성이 퇴사를 택했다.

이 같은 대퇴사(The Great Resignation)는 2020년 가을부터 미국의 화두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WALL STREET JOURNAL 칼럼
Peggy Noonan WSJ 칼럼니스트

미국인의 삶과 노동시장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노동력 부족이다. 유통매장 직원, 해변과 수영장의 구조대원, 경찰과 군인, 의료인, 항공사 직원 등이 모두 부족하다. 미국 기업들은 근로자를 확보하는 데 전례 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미국에는 1100만 건 이상의 구인광고가 나왔지만 실업자 수는 600만 명에 불과하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코로나19 팬데믹이 절정에 달했을 때 미국에서는 12만 곳의 사업장이 문을 닫았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경제는 반등했고 일자리가 급증했다. 하지만 퇴사자는 늘었고 경제활동 참가율은 코로나19 팬데믹 전보다 낮아졌다.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미국인들은 코로나19 경기부양 지원금과 실업급여를 받았다. 팬데믹 동안 외출이 줄어 생활비를 아낄 수 있었다. 그 결과 2020년 초 이후 미국인들의 가계저축이 급증해 경제적 여력이 생겼다. 팬데믹으로 보육시설이 문을 닫자 많은 여성이 퇴사를 택했다. 워킹맘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팬데믹 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대퇴사는 장기 추세

이 같은 대퇴사(The Great Resignation)는 2020년 가을부터 미국의 화두였다. 근로자들은 더 나은 조건을 찾아 직장을 그만뒀다. 미국 노동통계국은 지난해에만 4700만 명이 자발적으로 퇴사한 것으로 집계했다. 구인 수요가 급증하면서 노동시장에서 근로자의 결정권이 강해진 상황이 반영됐다.

최근 미국 포천지는 “대퇴사는 과거의 일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이라고 보도했다. 포천지가 인용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41%가 올해 안에 현 직장을 떠날 계획이라고 했다. 맥킨지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40%가 3~6개월 안에 퇴사할 예정이라고 했다.

여러 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많은 사람에게 팬데믹은 삶과 직업이 변화하는 계기가 됐다. 지난해 미국에서 창업 전선에 뛰어든 사람들이 급증했다. 어떤 이들은 가족과 더 오랜 시간을 보내길 원하게 됐다.

조지프 풀러와 윌리엄 커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는 대퇴사가 장기 추세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퇴사율은 장기간 상승해왔다. 팬데믹 초기에 근로자의 두려움이 커지자 일시적으로 둔화했던 것에 불과했다는 뜻이다. 이들은 미국의 대퇴사에 대해 “팬데믹 전 수준으로 회귀한 것”이라고 했다.

퇴사는 젊은이들만의 선택이 아니다. 지난해 많은 고령 근로자도 조기퇴직을 택했다. 주택 등 자산 가치가 불어난 데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공포도 컸기 때문이다.

 성장 둔화 불가피

대퇴사에는 명암이 있다. 저숙련 근로자들은 더 나은 대우와 급여를 요구할 수 있게 됐다. 많은 여성이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걸 택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다.

그러나 우려스러운 점도 있다. 로봇이 사람을 대체하고 있다. 무엇보다 미국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2000년 67%로 정점을 찍은 뒤 현재 그보다 5%포인트가량 낮아진 상태다. 특히 25세에서 54세 사이 인력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감소 추세다.

이런 현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성장 둔화다. 싱크탱크 미국기업연구소(AEI)의 니컬러스 에버스탯 이코노미스트는 “일하지 않는 사람들은 사회와 단절될 가능성이 크다”며 “장기적으로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 글은 영어로 작성된 WSJ 칼럼 ‘The Great Resignation Started Long Ago’를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