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시각장애인, 청각 뛰어난 이유 찾았다
우측 대뇌반구 기능 향상 때문
사람의 대뇌는 중앙의 긴 홈을 기준으로 좌우 반구로 나뉜다. 신체의 모든 신경 다발이 뇌교를 지나 서로 반대 방향의 반구를 향해 간다. 따라서 좌·우측 귀로 들어온 소리는 반대편 뇌로 신호가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중추 청각처리 능력을 살펴본 결과, 선천성 시각장애인은 언어를 이해하는 역할을 하는 좌측 대뇌반구보다 소리의 패턴과 음색을 인식하는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랜 시간 시각 정보가 차단되면서 대뇌가 청각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보상적으로 발달한 것이다.
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심현준 교수팀은 선천성 시각장애인 23명, 비시각장애인 22명을 대상으로 이분청취능력검사·주파수 패턴검사·소음환경에서 어음인지력 검사 등을 통해 이들의 중추 청각처리 능력을 비교 분석했다. 양측 귀에 다른 소리가 들어올 때 인지능력을 알아보는 '이분청취능력검사'는 각각 다른 3가지 숫자를 동시에 들려주고 어떤 소리인지 맞추는 검사다. 이 검사에서 비시각장애인은 우측 귀 15점, 좌측 귀 12점으로 우측 귀로 들은 소리를 더 잘 맞추는 우측 귀 우세를 보였다. 반면 시각장애인은 우측 귀 15점, 좌측 귀 16점으로 비시각장애인보다 좌측 귀 수행능력이 훨씬 우수했다. 이는 시각장애인에서 좌측 귀와 연결된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 발달했음을 시사한다.
주파수 패턴검사는 고주파수와 저주파수 두 가지 음을 무작위로 5개를 조합해 소리 패턴을 맞추는 형식이다. 소리의 높고 낮음을 흐밍으로 따라하는 반응으로 소리 패턴과 음색을 인식하는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은 좌·우측 귀 15점/15점, 비시각장애인은 좌·우측 귀 13점/14점 측정값이 나왔다. 좌·우측 귀 모두 시각장애인이 더 우수한 수행력을 보여 상대적으로 우측 대뇌반구가 발달했음이 확인됐다.
소음크기를 5단계로 구분해 시행한 소음환경에서 어음인지력에서는 가장 큰 소음인 -8 dB에서만 시각장애인이 비시각장애인보다 더 뛰어난 수행력을 보였다. 뇌파검사에서도 큰 소음 상황인 -8 dB, -4 dB에서 시각장애인의 뇌파가 비시각장애인보다 더 크게 반응했다. 적은 소음 상황에서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의 어음인지력 차이가 없는 것은 언어나 문자 이해력을 담당하는 좌측 대뇌반구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에서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인것으로 해석된다.
심현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장기간의 시각 상실이 우측 대뇌의 기능을 발달시킨다는 새로운 사실을 규명했다. 추후 시각장애인에게서 난청이 발생했을 때 차별화된 청각 재활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후원으로 이뤄졌으며 SCIE급 뇌과학저널인 Frontiers in Psych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너무 다양한 선크림, 내 피부엔 무엇으로 골라야 할까
- 청소년 건강, 코로나19 유행 전보다 흡연·음주는 개선…식생활·비만은 악화
- 전문가 "1∼2주내 정점…확진자 30만명까지는 안 갈 것"
- 아이 키 잴 때 여전히 벽에 세우고 `줄자` 59.3%…그 다음 순위는?
- 360조 시장 잡아라…K제약 희귀의약품 `사활`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카카오식 AI ‘카나나’…시장은 냉혹했다
- ‘흑백요리사’ 트리플스타, 취업비리X전처·전여친 사생활 폭로 파문 [MK★이슈]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