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역전' 현실화.. 자본유출 가능성 낮지만 경기 악영향 우려
0.75%P ↑.. 9월 자이언트 스텝 시사 속
파월 "CPI 등 보고 결정" 속도조절 언급
2년 6개월 만에 0.25%P차 금리 역전
인플레·가계빚 사이 韓銀 선택 주목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은 9.1%를 기록하면서 일각에서는 기준금리를 한 번에 1.0%포인트 인상(울트라 스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으나 경기 침체 우려 등을 고려해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지난 3월, 2018년 12월 이후 3년 4개월 만에 0.00~0.25%인 기준금리를 0.25~0.50%로 0.25%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지난 5월에는 22년 만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했다. 빅스텝에도 인플레이션 상황이 악화하자 지난달 15일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끌어올렸다. 1994년 11월 이후 28년 만에 초강수를 둔 것이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차단 노력에도 지난 13일 발표된 6월 CPI 상승률은 9.1%로 예상을 웃돌았다.
이는 9월 자이언트 스텝에 대해 ‘열린 결말’을 제시한 것은 물론, 이후 금리 인상 속도 조절(정상화)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통화 정책이 더욱 긴축적인 형태가 되면 우리의 누적된 정책 조정이 경제와 인플레이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면서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28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9%로 나타나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기술적 경기침체 상태에 진입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도 지난 13일 사상 최초로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 나섰음에도 6월 CPI 상승률이 6%로 뛰고,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4.7%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인플레이션이 잦아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약 2년 반 만에 한·미 기준금리 역전 상황이 도래함에 따라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금리 역전으로 인해 자본유출 등 당장 큰 충격이 발생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미국의 긴축에 이은 경기침체가 우리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출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지난달에 이은 2연속 자이언트 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함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로 올라섰다. 한국의 기준금리(2.25%)보다 상단이 0.25%포인트 높은 금리 역전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미국 금리 인상기마다 한·미 금리는 역전됐다. 미국 금리 인상기는 1기 1996년 6월∼2000년 5월(한·미 금리 역전기 1996년 6월∼2001년 3월), 2기 2004년 6월∼2006년 6월(〃 2005년 8월∼2007년 9월), 3기 2015년 12월∼2018년 12월(〃 2018년 3월∼2020년 2월)로 구분된다. 하지만 1기에 168억700만달러, 2기 304억5000만달러, 3기 403억4000만달러 등 금리 역전기마다 외국인 증권(채권+주식) 자금은 오히려 순유입됐다. 한국은행 또한 우리나라 경제의 펀더멘털과 대외 신뢰도 등을 들어 급격한 자본유출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결국 금리 역전보다는 미국의 금리 인상 자체가 국내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자이언트 스텝 등 통화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경기가 침체에 빠질 경우 이미 둔화세가 뚜렷한 한국의 수출에 악영향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한은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을 발표하면서 2분기 수출이 전분기보다 3.1% 줄어 지난해 2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미국의 긴축이 국내 기준금리의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도 있다. 연준의 유동성 흡수는 달러화 강세로 이어져 원화 가치를 더 떨어뜨릴 수 있다. 원화 가치 하락은 원·달러 환율 상승을 의미하고 이는 수입물가의 오름세를 키우는 요인이다. 한은은 현재 2.25%인 기준금리를 올해 세 차례(8·10·11월) 남은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계속 인상해 연말 2.75∼3.00%까지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는 3.12%이며, 한국이 적절한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따라 올리면 3.65%까지 뛸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날 한경연의 ‘미국과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추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 본원통화 증가율, 단기(6개월) 국공채금리, 미 연준의 금리결정준칙 등을 토대로 추정한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는 3.12%였다. 이와 함께 2002년 1월 이후 월별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한·미 간의 적정 기준금리 차이는 최소 0.53%포인트로 추산됐다.
이에 따라 향후 연준이 기준금리를 적정 수준인 3.12%까지 인상할 경우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는 3.65%로 예상됐다. 이 경우 한국의 가계대출 금리는 1.65%포인트 상승하고, 이로 인한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34조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수출 둔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한국 수출의 주력인 반도체업계는 미국발 세계 경기 위축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도체업계의 한 관계자는 “메모리 반도체 업황은 세계 경기를 따라가는데 미국의 연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인해 세계 경제 위축 우려가 더 커졌다”며 “특히 스마트폰, PC 등 IT(정보기술) 제품 수요도 둔화하면서 메모리 업황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준영·우상규 기자, 워싱턴=박영준 특파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