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에서 발효되는 '저항성 전분', 유전성 암 예방 효과 '탁월'

한기천 2022. 7. 28. 18: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년간 매일 먹으면 암 60% 예방, 특히 상부 소화관 암에 좋아
하루 '덜 익은 바나나' 한 개 분량이면 충분
영국 뉴캐슬대 연구진, 저널 '캔서 프리벤션 리서치'에 논문
유방암 종양에서 이탈하는 전이성 암세포 무리 생쥐의 유방암 종양(적색)에서 EMT(상피-간엽 이행) 단계를 일부만 거친 암세포 무리(녹색)가 빠져나오고 있다. [스위스 바젤대 생물의학과.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위와 소장에서 잘 소화되지 않는 녹말을 '저항성 전분'(resistant starch)이라고 한다.

이런 전분이 장(腸) 세균의 균형에 영향을 미쳐 유전성 암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저항성 전분을 꾸준히 섭취하면 암 발생이 6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랍게도 이런 효과는 전분 섭취를 중단하고 10년 후까지 지속했다.

또 식도, 위, 담도(biliary tract), 췌장, 십이지장 등 상부 소화관에서 특히 암 억제 효과가 두드러졌다.

상부 소화관 암은 발견하기 어려워 조기 진단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저항성 전분은 귀리, 미국식 조식의 시리얼, 조리한 파스타나 냉동 파스타, 쌀, 완두콩, 콩, 약간 덜 익은 '파란 바나나'(green banana) 등에 많은데 가루 형태인 전분을 따로 보충할 수도 있다.

영국 뉴캐슬대 과학자들이 주도적으로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5일(현지 시각) 미국 암 연구 협회가 발행하는 '캔서 프리벤션 리서치'(Cancer Prevention Research)에 논문으로 실렸다.

전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 논문은 전 세계 '린치 증후군'(Lynch syndrome) 환자 약 1천 명이 참여한 가운데 20년 넘게 진행된 국제 임상실험(CPAP 2)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린치 증후군은 용종(polyp) 없이 대장암이 생기는 상염색체 우성 증후군을 말한다. 그래서 유전성 비폴립증 대장암이라고도 한다.

당초 CPAP 2 임상 프로젝트는, 아스피린과 저항성 전분이 대장암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확인하는 걸 목표로 시작됐다.

아스피린에 관한 연구 결과는 이미 발표됐다. 요지는 아스피린을 꾸준히 복용하면 대장암 발생이 50%가량 감소한다는 것이었다.

저항성 전분과 관련된 이번 연구는 '이중맹검'(double blind) 방식으로 10년간 진행됐다.

'이중맹검'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와 피험자 모두 세부 내용을 모르게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평균 2년간 규칙적으로 저항성 전분을 섭취한 사람을 추적해, 대장 외의 소화관 부위에서 암 발생이 절반 이상 준 걸 확인했다.

하루 전분 섭취량은 덜 익은 바나나 한 개를 먹었을 때 섭취되는 양을 기준으로 했다.

뉴캐슬대의 존 매더스 인체 영양학 교수는 "너무 익어 물렁물렁해지기 전의 바나나는 (위와 소장에서) 잘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대장까지 내려가 발효된다"라면서 "이 과정에서 장 세균의 유형이 바뀔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저항성 전분은 탄수화물 덩어리나 마찬가지다.

이런 전분이 대장에서 발효 과정을 거치면 유익균(몸에 이로운 세균)의 먹이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칼로리가 낮은 저항성 전분은 소화계에서 발효성 식이섬유 역할도 한다.

그렇다고 해도 저항성 전분이 어떻게 암 발생을 막을 수 있을까.

연구팀은 여기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하나의 가설을 세웠다.

저항성 전분이 담즙산의 세균 대사에 변화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소화관 세포의 DNA를 손상하는 유형의 담즙산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고 한다.

당연히 담즙산의 DNA 손상은 암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암세포를 공격하는 T세포 구강 편평상피 암세포(백색)를 공격하는 두 개의 세포 독성 T세포(적색) [미국 국립 암 연구소(NCI)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CPAP 2 임상실험에 참여한 약 1천 명의 지원자는 세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아스피린, 저항성 전분, 가짜 약(placebo)을 매일 먹었다.

개인별로 1999년과 2005년 사이의 어느 시점부터 2년간 이 과정이 지속했다.

하지만 '투여 단계'가 거의 끝나도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래서 추적 기간을 연장해 장기 효과를 확인했다.

저항성 전분을 섭취한 463명 가운데 상부 소화관 암이 생긴 경우는 5명에 불과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가짜 약을 먹은 455명 중엔 21명이 같은 암에 걸렸다.

뉴캐슬대 연구팀은 린치 증후군 환자 1천800여 명 참여한, 다른 국제 임상실험(CPAP 3)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표는, 아스피린 복용량과 저항선 전분 섭취량을 줄여도 암 예방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뉴캐슬대 교수로서 CPAP 2에 참여한 존 번 경(Sir John Burn)은 "분명히 아스피린과 저항성 전분은 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cheo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