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해양바이오 산업 규모 1조2000억 원으로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해양바이오 산업 규모를 2027년까지 1조2000억 원 규모로 확대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서는 해양바이오 산업이 질병, 자원, 환경 등 국제적 문제 해결 뿐 아니라 혁신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미래 산업이라 보고 있다.
현재 국제 해양바이오 산업 시장은 7조 원 규모이며 2027년에는 1.6배인 11조 원 대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각 거점별 산업 클러스터 운용 등도 포함
정부가 해양바이오 산업 규모를 2027년까지 1조2000억 원 규모로 확대한다. 고용 부문에서는 1만3000명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을 28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표했다. 해양바이오 산업은 해양생물로부터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식량, 에너지, 산업소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핵심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서는 해양바이오 산업이 질병, 자원, 환경 등 국제적 문제 해결 뿐 아니라 혁신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미래 산업이라 보고 있다.
현재 국제 해양바이오 산업 시장은 7조 원 규모이며 2027년에는 1.6배인 11조 원 대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나라는 국제 시장 선점을 위해 국가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연구개발(R&D) 투자 등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해양생물에 대한 연구 역사가 짧아 임상 등을 위한 정보가 부족한 데다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도 상대적으로 적어 기술수준이 미국의 75%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또 관련 산업에 진출한 기업들이 대부분 영세하다 보니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신성장 전략 수립을 통해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로 했다. 이번 전략의 3대 중점과제는 ▷해양바이오 핵심기술 개발 ▷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 ▷기업의 자율적 성장 지원체계 구축 등이다.
해수부는 우선 심해저·공해 등의 해양생명자원으로부터 기초소재 확보를 강화하고 나노기술과 같은 첨단기술과 융합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양생명자원 4000여 종에 대해 항암·항균 등 유용소재를 확보한 뒤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해 기업에 바이오 소재를 제공하고 동시에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아울러 해양바이오 소재를 환경, 에너지, 의약 등의 분야까지 활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융복합 연구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도 정했다.
이밖에 해수부는 해양바이오 산업의 건실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펀드 조성,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거점별 산업 클러스터 운용, 기업의 자율적 성장 지원체계 확립, 전문인력 육성 전담기관 설립 등도 전략에 포함시켰다.
조 장관은 “이번 대책을 뿌리 삼아 해양바이오 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개발과 지원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