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구 5천174만명..정부 수립후 72년 만에 첫 감소

곽민서 2022. 7. 28.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5세 이상 871만명..생산연령인구 4명이 노인 1명 부양
15~64세 인구 -34만명..0~14세 유소년 인구도 -17만명
인구 절반 수도권 거주..서울서 빠지고 경기서 늘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작년 외국인을 포함한 우리나라 총인구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노인 인구는 한 해 동안만 42만명이 급증, 871만명으로 불어났다. 생산연령인구 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상황이 됐다.

지방 인구는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향하고, 서울 인구는 비싼 집값을 피해 경기도로 빠져나오는 상황도 이어지고 있다.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발표 (세종=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지연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이 28일 정부세종청사 1공용브리핑실에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2.7.28 hihong@yna.co.kr

작년 인구 0.2% 감소…1949년 집계 이후 처음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 부문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11월 1일 기준·등록 센서스 방식)는 5천173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1천명(-0.2%) 감소했다.

총인구가 감소한 것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센서스 집계가 시작된 이래 72년 만에 처음이다.

인구 성장률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하락하면서 1995년부터는 1% 미만으로 떨어졌고,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통계청 이지연 인구총조사과장은 "인구 자연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시 귀국했던 내국인 인구가 다시 유출되고, 외국인 인구도 줄어들면서 지난해 총인구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국적별로 보면 내국인 인구가 5천8만8천명으로 4만5천명(-0.1%) 줄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외국인 인구(-2.7%)도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남성 인구는 2천585만명, 여성 인구는 2천588만8천명으로 여성이 더 많았다.

여성 100명당 남자의 수를 나타내는 성비는 지난해 99.9로 집계됐는데, 특히 20대 성비(111.8)가 가장 높았다.

총인구 증감률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중위연령 43.9세→44.5세…65세 이상 고령층 871만명

연령별로는 15∼64세 생산연령인구(3천694만4천명)가 34만4천명(-0.9%) 줄었다. 생산연령인구는 2016년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까지 5년 동안 67만7천명 감소했다.

0∼14세 유소년 인구(608만7천명)도 1년 새 16만7천명(-2.7%)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870만7천명으로 1년 만에 41만9천명(5.1%) 증가했다.

이로써 총인구 가운데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6년 13.3%에서 지난해 16.8%로 5년 만에 3.5%포인트 상승했다. 인구 6명 중 1명이 노인이라는 의미다.

특히 고령층 가운데서도 85세 이상 초고령층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내국인 고령층(862만명) 가운데 85세 이상 초고령층(10.1%)은 지난해 처음으로 10% 선을 넘어섰다.

인구를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중위연령은 44.5세로 작년(43.9세) 대비 0.6세 올라갔다.

동 지역 중위연령(43.4세)과 면 지역 중위연령(55.7세) 간 격차는 12.3세까지 벌어졌다.

노인 부양에 따르는 부담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년 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년부양비는 23.6으로 상승했다.

생산연령인구 4.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43.0으로 10.5나 뛰어올랐다. 1년 단위 조사가 시작된 2016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연령별 인구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북 순창군 인구 -4.2%, 전국 최대폭 감소…군위 노령화지수 1위

인구 감소에 따른 고령화는 지역 소멸과 함께 나타나는 모습이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작년 대비 0.1% 늘면서 4개 권역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했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2019년에 처음으로 50% 선을 넘어선 뒤 계속 올라가는 추세로, 지난해에도 우리나라 총인구의 절반(50.4%)은 수도권에 거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중부권·호남권·영남권 등 나머지 권역은 전부 인구가 감소했다.

17개 시도 가운데는 울산(-1.3%) 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세종(3.5%) 인구가 가장 크게 늘었다.

시군구별로는 229개 시군구 가운데 170곳의 인구가 줄고 58곳만 인구가 늘었다.

작년 대비 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시군구는 전북 순창군(-4.2%)이었다.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과천시(13.6%)였다.

권역별 노령화지수는 호남권(165.5)이 가장 높았고, 수도권(126.6)이 가장 낮았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880.1)으로, 경기 화성시(51.2)의 17배에 달했다.

비싼 집값 피해 서울 거주자 경기도로

지난해 거주지를 옮긴 인구 이동자는 611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집값이 크게 오른 서울의 인구 순유출(-9만8천명)이 가장 많았다.

순유입 인구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기도(13만3천명)였다.

비싼 집값을 피해 서울을 빠져나간 인구가 경기도로 유입되며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외국인 인구는 165만명으로 총인구의 3.2%를 차지했다.

국내 상주 외국인은 한국계 중국인(31.7%)이 가장 많았다.

mskwa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