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조현병 일으키는 새 유전자변이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이나 조현병 등 뇌 발달 장애로 인한 질환을 일으키는 새로운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
뇌 발달 장애 치료에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뇌 발달 질환을 겪는 환자들을 분석해 슬릿트랙2 단백질에서 어떤 유전자 변이가 생기는지 확인하고, 이 중 일부 변이가 흥분성 시냅스의 기능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뇌신경 회로 통합 조율하는 시냅스
일부 변이가 기능 저해하는 것 발견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이나 조현병 등 뇌 발달 장애로 인한 질환을 일으키는 새로운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 뇌 발달 장애 치료에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뇌과학과 엄지원 고재원 교수 연구팀이 뇌 신경 회로 통합작용을 조율하는 ‘흥분성 시냅스’를 활성화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를 발견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신경세포 간 신호를 전달하는 시냅스는 흥분성 시냅스와 억제성 시냅스가 서로 협력하며 균형을 유지하는데 균형이 망가지면 뇌 발달 장애, 정신 질환, 퇴행성 뇌 질환 등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연구팀은 2013년부터 진행한 연구에서 흥분성·억제성 시냅스 발달에 관여해 시냅스 접착 단백질 그룹으로 불리는 ‘슬릿트랙’을 규명했다. 이 중 ‘슬릿트랙2’ 단백질에 유전자 변이가 생기면 조현병이나 자폐증, 지적장애 등이 생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뇌 발달 질환을 겪는 환자들을 분석해 슬릿트랙2 단백질에서 어떤 유전자 변이가 생기는지 확인하고, 이 중 일부 변이가 흥분성 시냅스의 기능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엄 교수는 “뇌 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민수 동아사이언스 기자 rebor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尹 “내부 총질하던 당 대표 바뀌니 달라져”…문자 공개 파장
- [김순덕의 도발]尹대통령은 왜 야당과 만나지 않을까
- [단독]강제북송 ‘키맨’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귀국
- 尹대통령, 이상민에 “경찰국에서 인사·제도 합리적으로 개선하길”
- 경찰 일선 반발 격화…전국 현장팀장회의, 14만 전체 경찰회의로 확대 추진
- 친윤 모임 ‘민들레’ 이름 바꿔 내달 출범할듯…장제원은 불참
- 민주당 예비경선 D-2 ‘97그룹 단일화’ 사실상 무산…호프 미팅도 취소
- IMF, 올해 韓 성장률 2.5%→2.3% 하향…내년엔 0.8%p 대폭 낮춰
- 123층 롯데타워보다 높은 건물, 용산에 들어선다
- [단독]美, B-2폭격기로 신형 전술핵 레이저 유도 투하시험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