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올해 성장률 2.3%로 하향..내년엔 더 둔화

박종오 2022. 7. 26. 22: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올해 성장률 전망 2.5→2.3%로 하향
내년엔 2.1% 성장 그쳐
미·중 성장률 대폭 끌어내려..국내 경제도 타격
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기존 2.5%에서 석 달 만에 2.3%로 끌어내렸다. 주요 기관 중 최저다. 특히 내년엔 성장률이 더 내려가며 경기 둔화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이엠에프는 26일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에서 한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률을 각각 2.3%, 2.1%로 전망했다. 이 기구는 매년 4·10월에 회원국 경제 전망을 발표하고, 1·7월에 주요국의 수정 전망을 내놓는다. 앞서 지난 4월 아이엠에프가 제시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5%, 내년 전망치는 올해보다 높은 2.9%였다. 그러나 3개월 만에 올해 전망치를 0.2%포인트, 내년 전망치는 0.8%포인트나 하향 조정했다. 내년에 경제가 더 안 좋아지리라는 것이다.

아이엠에프의 한국 성장률 예상치는 주요 기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올해 국내 경제가 2.6%, 한국은행은 2%대 중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보다 높은 2.7% 성장을 점쳤다. 그러나 아이엠에프가 지난해 한국 경제 성장률(4.1%)의 반 토막 수준인 전망을 내놓으며 다른 기관들도 전망치 하향 조정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전망 악화는 먹구름 낀 세계 경제를 반영한 것이다. 이 기구는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해 잠정적인 경제 회복 이후 올해는 위험이 구체화하기 시작하며 점점 더 암울한 상황이 전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이엠에프는 올해 세계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 3.6%에서 이번에 3.2%로 낮췄다. 미국과 유럽의 예상을 넘어서는 고물가, 중국의 성장 둔화, 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19 등을 반영한 결과다. 내년 전망치는 2.9%로 이전보다 무려 0.7%포인트나 끌어내렸다. 만약 유럽의 러시아산 가스 수입 전면 중단이 현실화하면 세계 경제 성장률은 올해 2.6%, 내년 2%까지 추락할 것으로 봤다.

특히 이번에 미국, 중국 등 주요 2개국(G2)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끌어내린 게 눈에 띈다. 이 기구는 미국 경제가 올해 2.3%, 중국은 3.3%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4월 전망보다 각각 1.4%포인트, 1.1% 하향 조정한 수치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폭 확대와 소비 둔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주요 도시 봉쇄 및 부동산 경기 침체 때문이다. 중국은 올해 2분기 성장률이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 1분기(연률 환산 기준 -34.4%) 이후 가장 저조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대중국·미국 수출액 비중이 전체의 40%(지난해 기준)에 이르는 만큼 우리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아이엠에프는 “올해 2분기 글로벌 생산량이 중국과 러시아의 경기 침체로 위축됐고 미국의 소비자 지출도 기대치를 밑돌았다”면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이미 약해진 세계 경제에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기조적 물가 상승), 미국과 유럽의 금융 긴축, 예상보다 더 나쁜 중국의 경기 둔화, 우크라이나 전쟁의 부정적 파급 효과 등 몇 가지 충격이 가해졌다”고 짚었다.

올해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평균 6.6%를 기록한 뒤 내년에 3.3%로 오름폭이 축소될 것으로 점쳤다.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며 올해 3분기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내년 말에나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리라는 것이다.

아이엠에프는 이번 보고서에서 향후 경제의 위험 요인으로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위기가 낳은 세계 경제의 분열과 함께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발생 우려를 꼽았다. 지난 4월 보고서에선 “과거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한 1970년대와 지금 경제 상황은 다르다”고 했으나 견해를 바꾼 셈이다.

이 기구는 “물가 상승 폭이 큰 국가는 단기적으로 실업 증가 등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이고 과감한 긴축 통화 정책이 필요하다”며 “재정 정책은 인플레이션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취약 계층 보호를 위한 일시적인 선별 지원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