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정상화방안 원점 재검토.. 내달 중엔 윤곽 드러낼 듯

정선형 기자 2022. 7. 26.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하청노조의 불법파업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은 대우조선해양이 이르면 8월 중 정상화 방안의 윤곽이 잡힐 전망이다.

26일 금융권과 KDB산업은행 등에 따르면 산은은 이르면 8월 중 대우조선해양과 관련한 컨설팅 결과를 받고 정상화 방안을 재검토한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대우조선해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 달 발표될 컨설팅 결과와 별개로 원점에서 이 문제를 재검토할 가능성까지 부상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시 작업 중인 조선소 :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조 파업이 51일 만에 종료된 가운데 25일 경남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작업자가 용접 작업 등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청파업으로 정상화 과정 차질

분리 매각 현실성 낮은 가운데

인수대상 찾기도 불가능 가까워

강석훈 산은 회장은 해결 의지

정부도 “광복절 전 입장 정해야”

하청노조의 불법파업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은 대우조선해양이 이르면 8월 중 정상화 방안의 윤곽이 잡힐 전망이다.

26일 금융권과 KDB산업은행 등에 따르면 산은은 이르면 8월 중 대우조선해양과 관련한 컨설팅 결과를 받고 정상화 방안을 재검토한다. 특히 신임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이 대우조선해양 문제 해결에 강력한 의지를 다지고 있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불을 지피고 있다. 정부도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 측에 “광복절 전까지는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스탠스(입장)를 정해야 한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져, 강 회장의 결단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대우조선해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 달 발표될 컨설팅 결과와 별개로 원점에서 이 문제를 재검토할 가능성까지 부상하고 있다. 최근 특수선(군함·잠수함)과 상선(商船) 부문을 분리 매각하는 안이 거론되고 있다.

상황이 쉽지만은 않다. 당초 이달 중 컨설팅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었는데 하청업체 파업사태로 새로운 변수가 추가되면서 컨설팅 일정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 하지만 컨설팅 결과가 나와도 뚜렷한 해법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금융권 및 관련 업계에서 나온다. 일단 근본적인 해결 방안인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만한 기업을 찾기가 어렵다. 대우조선해양을 통째로 인수하려면 막대한 자금을 떠안아야 하는데, 그럴 만한 기업은 현재 국내에는 없다는 평가다. 매각이 지지부진했던 지난 10여 년간 대우조선해양이 낸 순손실만 7조 원이 넘고, 공적자금만 10조 원이 넘게 투입됐다.

해외에서 인수대상을 찾는 것 또한 불가능에 가깝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분리매각 추진과 관련해 방산과 관련된 특수선 부문을 국내 업체에, 민감한 기술 유출이 없을 것으로 보이는 상선 부문을 해외에 매각하는 것도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상선 부문에도 LNG운반선 등은 국가핵심기술이 포함된 영역으로, 해외 기업에 매각 시 기술 유출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조선업계에 따르면 산은은 대우조선해양이 2001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마친 뒤 크게 5차례 매각을 진행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산은은 2008년 대우조선해양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한화그룹을 선정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무산됐다. 이듬해부터 3차례 매각을 시도했지만 조선업 불황 등이 심화하면서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2019년 3월 본계약을 체결하면서 신고 대상 6개국(한국·유럽연합(EU)·중국·일본·싱가포르·카자흐스탄) 모두의 승인을 인수 선결 조건으로 내걸었다. 이 중 EU가 2019년 12월 기업결합 심사를 개시했지만 코로나19 등을 이유로 세 차례나 심사를 유예하더니 지난 1월 불승인 결정을 내려 결국 두 회사 합병은 좌초됐다.

정선형 기자 linear@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