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 백악관 '연봉까지 공개' vs 대통령실 '이름도 비공개'
지금은 관광객들이 찾는 장소가 된 청와대, 그 중에서도 기자들의 업무 공간이었던 춘추관은 제게는 남다른 곳입니다. 이명박 정부 말기인 2012년과 문재인 정부 초기인 2017년 이렇게 두 번 그곳에서 일했습니다. 보수-진보 정권 청와대를 모두 경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기자로서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정권 말기였던 이명박 정부 때는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는 장면을 직접 옆에서 지켜봤고, 문재인 정부 초기에는 인수위 없이 정부를 출범시켰던 청와대 사람들처럼 저 역시 뭔가 준비할 겨를 없이 곧바로 춘추관에 짐을 풀었습니다.
춘추관 2층에는 브리핑 룸이 있습니다. 1백여 명은 족히 앉을 수 있을 만큼 큰 규모로 50석이 채 안되는 백악관 브리핑 룸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권위주의 군사정권 시절 세워진 영향이 아닐까 합니다. 이 브리핑 룸 연단 뒤쪽에 청와대 본관으로 통하는 문이 있습니다. 과거 김영삼 전 대통령 때까지는 이 문을 통해 언제든 비서동에 출입하며 청와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막힌 문…폐쇄성이 만드는 폐해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더욱 까다로워졌다고 하는데, 비서관급 이상은 전처럼 언론에 발표를 하긴 하지만 연락처는 제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행정관을 공개하지 않는 건 물론입니다. '행정관' 하면 감이 잘 안 오실 수 있는데, 2급부터 5급까지가 행정관입니다. 선임행정관의 경우 2급(이사관)으로, 일반 정부 부처 국장이나 부장검사, 경찰 치안감에 해당합니다. 과거 권위주의 시절에는 청와대 행정관이 지방에 내려가면 군수가 직접 영접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모든 직원 연봉까지 공개하는 미 백악관
해마다 작성하기 때문에 직원 수와 급여 등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올해 발표 직후 미국 언론들은 1년 전 560명이던 직원 수가 86명 줄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1995년, 의회가 전 직원의 연봉을 공개하라고 백악관에 요구한 뒤 매년 보고서를 제출해오고 있는데 지난 2009년 오바마 대통령 때부터는 백악관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에도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
명단 공개가 가져올 수 있는 변화
대통령실 관계자가 이야기했듯이 중요한 건 여론이고 또 여론을 제도로 구현하는 국회의 역할입니다. 더 이상 대통령실이 '궁궐'이나 '용궁'이란 소리를 듣지 않도록 보다 개방된, 그래서 국민의 소리를 더 잘 듣고 또 반대로 국민이 직접 대통령실이 어떤 사람들 손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들여다 볼 수 있는 투명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면 불필요한 논란도 줄어들 수 있을 것입니다.
남승모 기자smna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피겨여왕과 사랑에 빠진, 연하의 성악가…고우림은 누구?
- '오토 폴딩' 기능에 손가락 절단된 17개월 아기…유모차 회사의 대응은
- “강 깨끗하다”며 마시는 퍼포먼스…인도 정치인 병원행
- 최고 갑부들의 잘못된 만남…“머스크, 구글 창업자 아내와 간통”
- 올림픽대로 킥보드 질주 '무면허' 10대…“끼워주세요” 손짓도
- “25년 된 안내문, 옷장엔 곰팡이”…군 간부가 폭로한 숙소 모습
- 피겨퀸 김연아, 10월 결혼…성악가 고우림과 3년 교제 끝에 웨딩마치
- '가짜였군'…빼앗은 시계 되돌려준 나폴리 강도
- 중복 앞두고 철장에 웅크린 개 100마리…적발했지만 시정명령만
- “이보다 명확한 게 어디 있냐”…MZ세대들의 '연차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