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물가상승 고물가에 민생 '빨간불'..특단 대책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속되는 고물가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시민단체가 자영업자들과 가계부담을 완화할 '민생 우선 대책'을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25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를 지나며 자영업자 가계부채가 1000조원에 육박하고, 소득대비부채(LTI)가 356%인 상황"이라며 "고물가, 고급리 등 새 악재에 나온 상황에서 임대료, 플랫폼 갑질 개선 같은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다 고유가까지"
"尹정부 정책, 불평등 심화·대기업 친화적"
"119급 심각 상황, 지역화폐 등 유지돼야"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계속되는 고물가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시민단체가 자영업자들과 가계부담을 완화할 ‘민생 우선 대책’을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25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를 지나며 자영업자 가계부채가 1000조원에 육박하고, 소득대비부채(LTI)가 356%인 상황”이라며 “고물가, 고급리 등 새 악재에 나온 상황에서 임대료, 플랫폼 갑질 개선 같은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김남근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장(변호사)은 “윤석열 정부는 플랫폼 수수료 폭리 규제, 납품단가 연동제 규제 같은 꼭 필요한 시급한 규제 논의도 외면하고 있다”며 “뒤늦게 나온 가계부채 정책도 10년~20년 채무조정 방식으로 도덕적 해이 논쟁만 야기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이명박 정부 때 실패한 부자감세·대기업 프렌들리 정책이 아닌 주거비, 통신비, 가계부채 등 부담을 온화하고 중소상인 살리기 정책 등 민생위기 타개를 최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장수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이사장도 현장 발언에서 “물가상승률이 6%라고 하지만 지난해 대비 30% 이상 상승한 곳도 있다”며 “우유, 원두, 1회용 컵, 파우더 등이 가파르게 가격이 오르고 있다. 경제 침체 지속시 카페는 폐업과 파산 등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125조원대 민생 방안은 자영업자를 돕는 게 아니라 금융권의 부실채권을 대신 매입해주는 특혜”라며 “지원금과 손실보상금을 받지 못한 사각지대에 놓인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우선 지급해 숨통을 트여주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말했다.
가계부채와 관련해 신동화 참여연대 선임간사는 “현재 가계대출 70~80%가 변동금리로 다중채무 비중도 높은 상태”라며 “코로나19 유행 시기 재정 당국은 재정건전성을 운운하며 취약계층 지원 재원을 적극투입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저금리 대환대출, 새출발기금 등은 긴급지원에는 의미가 있으나 채무조정에 대한 재원 지출과 정부 관리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은정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전세대출자들도 정신을 못차릴 지경”이라며 “지난 20일 정부가 발표한 임대차시장 안정방안은 그야말로 절벽 끝에서 민생이 밀려날 우려가 있는 안”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가 대대적인 부동산 세제 완화를 통해 종부세를 형해화하고 있어 정부의 주거 정책이 자산불평등을 더욱 확대할 위험을 키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성원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사무총장도 “지금은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한국 경제 한축인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살릴 때인데 정부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국민투표 등 대기업 위주 규제 완화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예산부족으로 발행 축소나 중단이 예상되는 지역화폐의 경우 추경을 통해서라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총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통신사, 카드사, 올라인 플랫폼 등은 오히려 특수를 누리며 호황의 시간을 보냈다”며 “임대인 등 국가적 재난 상황에는 모두가 고통을 분담하고 위기를 이겨낼 수 있는 시스템의 안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op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연아 10월 결혼…5세 연하 성악가 예비신랑 누구?
- 아파트서 30·40대 자매 추락사…집안엔 초등생 자녀 2명도 숨진 채 발견
- ‘우영우’ 박은빈 다녀간 그 ‘소덕동 팽나무’ 실제 장소, SNS인증 행렬
- “한국이 키운 이 여성” ‘디즈니의 나라’ 미국서 결국 일냈다
- “이은해 사건 계곡 여기 맞아?”…호기심 많은 관광객까지 인산인해
- “중국 웹툰에 한복입은 커플이 왜 나와?” 정체 알고보니
- ‘커밍아웃’ 홍석천 “동성결혼 생각 없다” 선 그은 이유
- 삼성 크게 화났다?…“신제품 잔칫날 찬물 끼얹는 중국”
- [영상] “머스크, ‘절친’ 구글 창업자 아내와 간통…무릎꿇고 사과” [나우,어스]
- “유모차에 아기 손가락 절단”…업체들 줄줄이 “우린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