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적자 누적·낮은 인건비..대우조선 정상화 '먼 길'
51일 만에 파업 끝났지만 불씨 여전
부채비율 546%, 타사의 3배 달해
VLCC선 위주 저가 수주 구조에
경영 성과 반영되는 데도 1~2년
하청업체 노동조합 파업은 51일 만에 극적으로 봉합됐지만 대우조선해양이 온전한 ‘정상화’의 길로 접어들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높은 부채비율과 적자구조, 그로 인한 낮은 인건비 책정 등 근본 불씨가 꺼지지 않은 상태다.
24일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이 업체는 지난달 18일 이후 중단됐던 1도크 진수작업을 전날에야 마무리했다. 진수작업은 새로 만든 배를 처음으로 물에 띄우는 작업이다. 이번에 진수된 선박은 30만t급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이다. 납기일이 오는 10월 말로 얼마 남지 않아서 대우조선해양은 시운전 등 남은 공정을 최대한 서두르겠다는 입장이다.
큰 고비는 넘겼지만, 만성적인 적자구조를 감안하면 실질적인 경영 정상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3월 기준 대우조선해양의 자본총액은 1조6359억원, 부채총액은 8조9424억원으로 부채비율은 546%에 달한다. 현대중공업의 부채비율이 176%, 삼성중공업 189%인 것과 비교하면 3배에 가깝다.
이번 파업도 영업 손실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은 생산 지연으로 입은 손실을 고정비 1426억원, 매출 6468억원, 지체 보상금 271억원 등 총 8165억원으로 추산했다. 다만 매출 손실은 파업 기간의 공정 진행률 0%를 반영한 예상치이기 때문에 공정 재개에 따라 회수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선종 포트폴리오가 다른 조선사 대비 손실 규모를 키웠다는 시각도 있다. 국내 조선 3사의 건조 능력은 대체로 유사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VLCC 부문에서 경쟁력을 보여왔다.
VLCC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비해 길이·폭이 더 길어 후판 가격 인상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받으며 이에 따른 손실이 장부에 반영됐다는 것이다. 반면 1척당 2억달러가 넘어 고부가가치선박인 LNG 운반선에 비하면 선가는 절반 정도에 그친다.
지난 4월 기준 현대중공업의 전체 수주물량 136척 중 탱커(유조선)가 차지하는 비율은 9.5%(13척)인 반면, 대우조선은 전체 103척 중 17척(16.5%)이 VLCC 같은 탱커 선종이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VLCC 탱커의 신조선가는 1억1500만달러선이다. 특히 이번 점거파업의 발단이 됐던 VLCC 선박은 1억달러를 밑돌던 1년 전에 수주한 물량으로 알려졌다. 올해에는 카타르발 LNG 운반선 물량이 쏟아지면서 대우조선해양도 수주 목표 대비 66.4%를 달성했지만, 건조 단계에 따라 대금을 나눠 받는 산업 특성상 실제 경영성과로 이어지기까지는 1~2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조선업이 LNG선 호황으로 부활하고는 있지만, 과거 구조조정기의 잔재인 저가 수주, 부채비율 등을 털어내기 전까지는 경영 환경이 좋지 못해 언제든 노사 갈등이 재연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자메모] ‘이웃의 눈’으로 파업을 바라본 거제 주민들
- 법원, 하청 노조원 9명 체포영장 기각…노조원들 파업 해단식
- “노조 이름 넣기까지 6년”…하청노동자가 끌어낸 ‘노조할 권리’
- “사과해” “손가락질 말라” 고성·삿대질 난무한 대통령실 국정감사 [국회풍경]
- 수능 격려 도중 실신한 신경호 강원교육감…교육청·전교조 원인 놓고 공방
- [스경X이슈] ‘나는 솔로’ 23기 정숙, 하다하다 범죄전과자까지 출연…검증 하긴 하나?
- “이러다 다 죽어요” 외치는 이정재···예고편으로 엿본 ‘오겜’ 시즌2
- [단독] ‘김건희 일가 특혜 의혹’ 일었던 양평고속도로 용역 업체도 관급 공사 수주↑
- 유승민 “윤 대통령 부부, 국민 앞에 나와 잘못 참회하고 사과해야”
- “부끄럽고 참담” “또 녹취 튼다 한다”···‘대통령 육성’ 공개에 위기감 고조되는 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