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 들고 미국인들 유럽 몰려간다[미국은 지금]
미보다 유럽 현지 각종 명품들 더 저렴
숙박료 등 올라도 미 관광객들 몰려가
물가 안정 위해 '킹달러' 용인하는 연준
유럽 물가 폭등세 진정, 더 어려워지나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보다 700달러 넘게 싸게 샀어요.”
미국 시카고에 사는 26세 디자이너 알리사 브라운씨. 그녀는 올해 4월 이직한 이후 곧바로 휴가 계획을 세웠다. 프랑스 파리로 날아가, 오랜 기간 눈여겨 봤던 생로랑의 가방을 사는 것이었다.
때마침 4월 당시 유로·달러 환율은 1.1달러를 밑돌았다(유로화 약세·달러화 강세). 1년 전만 해도 1유로당 1.2달러를 훌쩍 넘었는데, 그 사이 유로화 가치가 떨어진 것이다. 브라운씨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파리에서 생로랑 선셋 미디엄 체인백을 사는데 1833달러를 썼다”며 “미국 가격인 2550달러보다 700달러 이상 저렴했다”고 말했다. 700달러면 한국 돈으로 90만원 안팎이다.
그 이후 유로·달러 환율은 패리티(parity·동등 가치) 수준까지 더 하락했다. 최근 뉴욕에서 일하는 마케팅 임원인 제니퍼 바움씨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덴마크 코펜하겐을 여행했다. 바움씨는 WSJ를 통해 “(네덜란드 유로화와 덴마크 크로네화로 표기된 가격을 달러화로 환산해서 나온) 호텔값을 보고 매우 만족스러웠다”고 말했다.
“유럽서 가방·보석 더 싸게 샀어요”
미국에서 때아닌 ‘유럽 특수’ 바람이 불고 있다. 유로화 가치가 ‘역대급’ 급락하면서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럽 각국에 복합위기가 닥치면서 유로화가 급락하자, 미국인들이 ‘킹달러’를 들고 몰려가는 것이다.
23일(현지시간) WSJ가 인용한 부가가치세(VAT) 환급 제공업체인 플래닛의 집계를 보면, 올해 6월 미국 여행객들이 유럽에서 쓴 돈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6월과 비교해 56% 폭증했다.
특히 유럽에서 유명한 명품 가방, 보석, 시계 등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까르띠에, 바쉐론 콘스탄틴, 몽블랑 등 명품 브랜드를 갖고 있는 스위스의 리치몬트는 올해 2분기 유럽 매출액이 1년 전보다 42% 뛰었다. 아시아·태평양(-15%), 아메리카(+25%), 중동·아프리카(+6%) 등 다른 지역들보다 호실적을 올렸다. 리치몬트는 “미국과 중동에서 온 관광객들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이 때문에 유럽의 물가는 오히려 더 치솟고 있다. 숙박 데이터업체인 STR에 따르면 7월 9일까지 28일간 유럽의 하루 호텔 평균요금은 154.41유로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급등한 수치다. 여행 예약 앱인 호퍼 집계를 보면, 현재 미국에서 유럽으로 향하는 비행편 가격은 왕복 평균 672달러다. 2019년 대비 5% 이상 올랐다. 그럼에도 높은 가격을 지불하겠다는 미국 관광객들이 쏟아져 들어오는 게 근래 유럽의 분위기다. 달러화 대비 유로화 약세가 심화하면서 유럽 현지의 물가 폭등분을 상쇄하고도 남기 때문이다.
뉴욕 출신의 사진작가인 리마 브린다모어씨는 “유리한 환율 덕에 이탈리아 신혼여행에서 개인 공항 셔틀버스, 와인 투어 등 평소 하지 않았던 서비스를 즐겼다”고 전했다.
물가 안정 위해 강달러 용인하는 美
더 나아가 아예 유럽의 집을 사려는 미국인들이 늘고 있다. 미국 집값이 치솟자 유로화 약세를 등에 업고 부동산 매수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블룸버그가 인용한 부동산 중개업체 소더비의 자료를 보면, 1분기 소더비의 이탈리아 중개수수료 매출액 가운데 미국인 비중은 12%로 나타났다. 1년 전에는 5%에 불과했다. 또 2분기 그리스 이주를 희망하는 미국인들의 요청은 전년 동기 대기 40% 이상 급증했다고 소더비는 전했다.
미국 내 유럽 특수는 최근 세계 정세를 극명하게 상징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WSJ는 “유로화 약세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유럽의 에너지 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했다. 미국인들이 ‘로망’처럼 여겼던 유럽이 저렴하게 쉬다 오는 곳으로 전락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인들이 쓰는 돈으로 인해 물가 상승세가 더 가팔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정작 유럽 거주 시민들의 경제 고통은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게다가 월가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사실상 강(强)달러를 용인하고 있다는 얘기가 파다하다. 월가 금융사의 한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강달러는 미국 수입 물가를 낮추고 해외 소비를 늘리는 측면에서 물가를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했다. 달러 강세에 유럽을 비롯한 세계 경제가 신음하고 있지만, 미국 정책당국은 무엇보다 자국 물가 잡기에 올인하고 있다는 뜻이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궁즉답]말도많고 탈도많은 '민방위복' 교체 왜?
- [팩트체크] 내년 9급 1호봉 급여는 수당 포함 200만원을 넘지 못한다?
- "떡꼬치 4000원, 호두과자 5000원"…휴게소 음식, 너무 올랐다
- 조깅 중 납치된 '4조' 상속녀…결국 시신으로 발견됐다
- (영상)"8분 후 물에 잠겼다"…포항 주차장 '블랙박스' 영상엔
- (영상)이규현 코치, 10대 제자 성폭행 혐의…과거 스킨십 논란도
- "대출부터 갚을래" 추석상여금 은행으로, 일주일새 5천억↓
- 숙대 재학생 1500여명 “김건희 ‘표절 의혹’ 석사 논문 조사 촉구”
- 뷔·제니, 이번엔 '럽스타' 의혹
- "강요로 마약했다"¨에이미, 항소심서도 '징역 3년'